사회 전국

"목재 자원 비교 우위 있는 전남…'목조건축 전담기구' 설립 나서야"

김호진 전남도의원, 차별화된 정책 제안

목재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 토론회 눈길

'산림·목재 순환적 이용 탄소중립' 주제

김호진(오른쪽) 전남도의원이 12일 전남 순천시 순천만 국제습지센터 컨퍼런스홀에서 개최된 ‘목재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 토론회’에 참석해 ‘산림과 국산목재의 순환적 이용을 통한 탄소중립’을 주제로 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전남도의회김호진(오른쪽) 전남도의원이 12일 전남 순천시 순천만 국제습지센터 컨퍼런스홀에서 개최된 ‘목재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 토론회’에 참석해 ‘산림과 국산목재의 순환적 이용을 통한 탄소중립’을 주제로 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전남도의회




“산림과 산림에서 수확되는 목재는 탄소흡수와 저장을 통해 지구온난화 완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산림의 탄소흡수량과 국산 목재의 활용을 늘리는 것이 필수적인 과제입니다.”



산림순환경영은 2050 탄소중립 실현 등 국산 목재이용 촉진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김호진 전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1)이 12일 전남 순천시 순천만 국제습지센터 컨퍼런스홀에서 개최된 ‘목재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 토론회’에 참석해 강조한 부분이다.

관련기사



‘산림과 국산목재의 순환적 이용을 통한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호진 의원은 “우리나라는 국토의 63%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재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 즉 목재 자급률은 16%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는 70~80년대 대규모 조림으로 산림녹화에 성공했지만, 경제림 조성 실패와 벌채의 부정적인 인식 등 요인이다”고 피력했다. 이어 “목조건축물이 탄소중립 시대에 적합한 건축자재임을 인식한 일본, 북미,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는 공공건축물에서의 목재 사용을 일부 의무화하거나 권장하는 법안을 시행 중”이라며 “특히 일본은 목조 건축 활성화를 위해 2010년부터 공공건축물에 자국산 목재 사용을 의무화하고 2021년에는 민간건축물에도 확대하는 등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호진 의원은 “산림순환경영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며 “전남은 산림 면적이 약 1500만㏊(전국의 약 13%)로 목재 자원이 풍부한 만큼 목조건축 활성화를 위해 전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하고 목조건축 전담기구를 설립하는 등 구체적인 인프라 확충에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목재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 토론회는 ‘2050탄소중립 시대’에 있어 탄소흡수원으로 산림의 역할이 대두 되고 있는 만큼 목재 인식 개선을 통한 목재 이용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순천=박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