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習, 6년만에 베트남 방문…美 동남아 영향력 견제

양국 '운명공동체' 정립 관건

철도·고속도로 투자안 논의

美 배터리·광물 협력 등 대응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펑리위안 여사가 12일(현지 시간)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국제공항에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시 주석은 동남아시아에서의 미국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경제·외교 분야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EPA연합뉴스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펑리위안 여사가 12일(현지 시간)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국제공항에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시 주석은 동남아시아에서의 미국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경제·외교 분야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EPA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엔푸쫑 공산당 서기장의 초청으로 이틀간 베트남을 국빈 방문했다. 동남아시아의 전략적 교두보인 베트남을 끌어안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이번 시 주석 방문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기존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에서 중국이 주창해온 ‘운명공동체’로 재정립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12일 외신에 따르면 쫑 서기장 초청으로 이날 베트남을 방문한 시 주석은 보반트엉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팜민찐 총리도 접견한다. 양국은 교류와 안보·수출입과 관련해 협력을 강화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또 양국을 연결하는 철도와 고속도로 등 사회 기반시설 투자 및 지원 방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시 주석의 베트남 방문은 6년 만이다.

이달 1일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은 시 주석의 국빈 방문 일정과 현안을 사전 조율하기 위해 베트남을 방문했다. 당시 외교가에서는 양국 관계가 중국이 주장해온 ‘운명공동체’로 재정립하기로 합의가 됐기 때문에 시 주석의 국빈 방문이 성사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비동맹을 표방하는 베트남은 한국과 인도·러시아·중국·미국·일본 6개국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운명공동체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보다 한층 깊은 관계를 뜻한다. 중국은 베트남의 가장 큰 교역국이며 올해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맺은 지 15년이 됐다. 양국의 지난해 교역액은 1756억 달러(약 228조 원)에 달한다.

시 주석의 이번 베트남 방문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 이후 3개월 만이다. 미국과 베트남이 전략적으로 더 가까워지기 전에 중국이 발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9월 베트남을 방문해 쫑 서기장과 만나 양국 관계를 ‘포괄적 동반자’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격상했다. 당시 경제사절단으로 인텔·구글·앰코테크놀로지·보잉 등 다수의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방문해 현지 투자 및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미국과 베트남은 새로운 반도체 파트너십을 맺고 스마트폰과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희토류 공급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베트남은 중국 다음으로 희토류 매장량이 많은 국가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