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탈화석연료 전환' 합의문 채택…COP28 2주간 마라톤회의 결실

2030년까지 친환경에너지 3배로

2050년에는 탄소중립 달성 목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2주에 걸친 마라톤 협상 끝에 극적으로 화석연료 감축에 대한 합의를 이뤘다.



술탄 아흐메드 알자베르 COP28 의장은 13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총회에서 ‘탈화석연료 전환’이라는 내용을 담은 세 번째 합의안이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그는 “역사적인 성과”라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역사상 처음으로 공동선언문에 화석연료에 대한 언급을 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초안에 들어갔던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 문구는 결국 빠졌다.

관련기사



합의문은 “(전 세계가) 정의롭고, 질서 있으며, 공정한 방식으로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벗어나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고 명시했다. 구체적으로 지구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탈(脫)탄소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는 등 8가지 방안을 담았다. 이를 통해 우선 2030년까지 전 세계 친환경에너지 발전량을 지금의 3배로 늘릴 계획이다.

앞서 COP28의 공동선언 합의문은 화석연료 감축 관련 문구를 두고 각국 각계의 이견이 커지며 타결에 진통을 겪었다. 폐회를 하루 앞두고 공유된 합의문 초안은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이라는 문구가 빠진 대신 ‘생산·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애매한 표현을 담아 논란을 일으켰다. 이후 참가국들이 ‘화석연료에서 멀어지는 전환’이라는 절충안을 마련해 두 번째 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이 역시 여전히 부족하다는 반발에 부딪혔다. 에너지 전환 국면에서 저개발국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한 ‘손실과 피해 기금’의 세부 사항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지적 역시 제기됐다.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화석연료에서 벗어나기 위한 첫발을 성공적으로 내디뎠다는 평가가 나온다. 에스펜 바르트 에이데 노르웨이 기후환경부 장관은 “전 세계가 ‘화석연료에서 멀어지는 전환’이라는 명확한 표현에 한 뜻으로 뭉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