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근 3년간 수시 이월 인원 감소…올해 수시 추가합격 증가 관측"

2021년 2751명→올해 1150명 '뚝'

"복수지원에 수시생 최대 선발 노려"

7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융합콘텐츠창작전공 수시 2차 실기고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7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융합콘텐츠창작전공 수시 2차 실기고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2024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이 진행 중인 가운데 최근 3년간 수시 이월 인원이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17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서울권 소재 대학에서 수시 정원을 충족하지 못해 이월된 인원(수시 이월 인원)은 2021학년도 2751명, 2022학년도 1519명, 2023학년도 1150명으로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특히 자연계에서 수시 이월 인원은 감소 폭이 더 컸는데 2021학년도 1248명, 2022학년도 719명, 2023학년도 455명이었다.

같은 기간 인문계 이월 인원도 1503명→800명→695명으로 감소세를 보였지만 폭은 자연계보다 적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10개 대학의 수시 이월 인원도 2021학년도 782명, 2022학년도 596명, 2023학년도 471명으로 줄었다.

2023학년도에는 서울대 32명, 고려대 147명, 연세대 136명, 이화여대 50명, 성균관대 43명의 수시 이월 인원이 발생했다.



학과로 보면 2023학년도 수시에서 이월 인원이 많이 발생한 대학은 인문계에서는 서울교대 초등교육과 83명, 이화여대 인문계열 22명, 연세대 경제학부 15명이었다.

관련기사



자연계열에서는 수시 이월인원이 고려대 컴퓨터학과 24명,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23명, 연세대 융합과학공학부(ISE) 16명이었다.

지방대도 수시 이월 인원이 감소한 것은 마찬가지였다. 지방대의 수시 이월 인원은 2023학년도에 2만7722명으로 2022학년도 2만8390명에 비해 감소했다.

매년 수시 이월 인원이 줄어드는 것은 수시 이탈자가 발생하더라도 서울권과 자연계열에 이미 수험생이 많이 복수 지원을 한 까닭에 추가 합격을 통해 충분히 다른 신입생을 뽑을 수 있는 특징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의대 쏠림현상과 문이과 교차지원, 학령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정시에서 학생을 뽑기 어려워지자 대학들이 여러 번의 추가 합격을 통해서라도 수시 합격생을 최대한 뽑으려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은 2024학년도 입시에도 이어져 수시 추가 합격이 늘어날 전망이다.

수시는 최대 6번까지 지원할 수 있는데, 대학마다 최초합격자가 되지 못한 학생들 중 자신들의 조건을 충족한 학생들에게 예비 번호를 부여한다. 예전에는 인원이 미달되더라도 앞번호에서 자체 마감했는데 이제는 미달 시 좀 더 뒷번호까지 추가 합격을 시키는 경향이 보인다.

종로학원은 정시에서 통합수능으로 인해 수험생들이 문·이과 교차지원이 가능해졌고 의대 쏠림 현상이 심화함에 따라 대학들이 학생을 뽑는 데 상당한 부담이 발생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불수능' 여파로 수시에서 수능 최저등급을 맞추지 못한 학생들이 대거 수시에서 이탈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시에서 수능 최저 등급을 요구하는 대학은 30%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조건의 수시라면 추가 합격이 예전보다 수월할 수 있다고도 종로학원은 예상했다.

한편 2024학년도 대입 수시는 22일부터 추가 합격자를 발표하며, 추가합격자 통보는 28일에 마감된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