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加, 2035년부터 '탄소제로' 신차판매 의무화

배터리·수소모델 등만 허용

26년엔 전체 신차의 20%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캐나다가 2035년부터 모든 신차를 전기차 등 ‘탄소 제로(무공해)’ 차량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17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캐나다 정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캐나다 정부가 ‘전기자동차 가용성 표준(EVAS)’이라는 규제를 이번 주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새로운 규제는 배터리와 플러그인, 수소 모델 등 무공해 차량의 판매 비중을 2026년에는 전체 신차 판매의 20%, 2030년에는 60%, 2035년에는 100%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또 수출로 인한 캐나다 내 전기차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캐나다 소비자들이 우선적으로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된다. 자동차 제조 업체들이 애초 목표보다 많은 전기차를 시장에 출하하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에 투자하면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게 되는 식이다.

다른 나라들도 전기차 도입 의무화 정책을 펴고 있다. 영국은 9월 2035년까지 신차 판매의 100%를 전기차로 하는 방안을 도입했고 미국 뉴욕과 캘리포니아 등 미국 내 12개 이상 주 정부도 전기차 판매 의무화를 시행 중이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4월 2032년 판매되는 신차의 3분의 2를 전기차로 채우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다만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공화당 선두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비싼 전기차의 의무화로 그만큼 소비자들의 지출 부담도 높아져 가정경제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현재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전체 자동차의 13%를 차지하고 있지만 10년 후에는 시장의 40∼45%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