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도 '배추 대체작목 지원' 김장철 수급안정·가격지지 효과

14억 지원…해남 등 305㏊ 작목 전환

배추 가격 평년 수준·농가 소득 증대

전남의 한 농가에서 재배하는 겨울배추. 사진 제공=전라남도전남의 한 농가에서 재배하는 겨울배추. 사진 제공=전라남도




김장배추 재배 면적을 선제적으로 감축한 것을 골자로 한 전남도의 ‘배추 대체작목 지원 시범사업’이 수급안정과 가격지지 효과를 나타냈다.



19일 전남도에 따르면 김장 성수기인 11월 중순부터 12월 중순까지 배추 가격은 전년(4775원·10㎏)보다 1570원(33%) 높은 6345원에 거래돼 평년 수준을 유지했다.

관련기사



앞서 전남도는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해남과 진도 등 11개 시·군으로부터 배추 작목 전환 신청을 받아 최종 305㏊(451농가)에 대해 사업비 14억 원(도비 4억 원)을 확정하고 재배 면적을 감축했다. 시·군별로는 주산지인 해남이 가장 많은 254㏊, 영암이 17㏊, 진도가 13㏊ 등이다. 유형별로는 휴경이 132㏊로 가장 많고 농협과 재배계약이 된 보리 36㏊, 밀 13㏊, 유채 등 기타작물이 124㏊ 등이다.

이처럼 재배면적을 감축한 이유는 김장문화가 소량·연중으로 변화하고, 김치 소비량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 분석 결과 2009년 29㎏에서 2021년 20.9㎏으로 감소하는 반면, 전국 재배 면적은 매년 1만 7000㏊ 수준(전남 6368㏊·전국의 37%)을 유지하면서 가격 하락이 우려됐기 때문이다.

지원금은 ㏊ 당 450만 원으로 현장조사에서 배추를 재배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농가에 한해 12월 말까지 지급한다.

김영석 전남도 식량원예과장은 “올해 14억 원을 투입해 재배면적을 감축한 것이 지난해 53억 원을 투입해 배추 산지폐기(359㏊)한 것보다 약 39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고, 가격지지를 통한 농업인 소득 증대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무안=박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