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뒤숭숭한 포스코 이번엔 화재까지… "원인 파악 제대로 하라"

■포스코 포항제철소 화재

산업부 "원인 파악 및 복구 전력해달라"

회장 연임에도 영향 미치나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23일 불이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연합뉴스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23일 불이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연합뉴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3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화재와 관련해 “일시적 가동중단이라도 조선·자동차 등 수요 산업에 파급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원인 파악 및 조속한 복구와 생산영향 최소화 등에 전력을 다해달라”고 강조했다.

방 장관은 이날 정부 서울청사와 포스코 포항제철소 간 긴급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이처럼 당부했다. 앞서 오전 7시쯤 경북 포항시 남구 동촌동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용광로) 인근 부생가스 배관에서 불이 났다.



소방 당국은 119특수대응단과 포항·경주·영천소방서 소속 소방차 33대와 소방관 100여명을 동원해 1시간 40여분 만에 초기 진화를 완료했다. 경찰은 포스코 공장 안에서 라인 배관이 파손되며 가스가 누출되자 스파크가 발생하며 불길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했다.

관련기사



화재로 정전이 발생하면서 제철소 내 상당수 공장 가동이 중단됐다. 경찰은 포스코 5개 구역 중 4개 구역에서 정전으로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했다. 다만 비상발전기로 전기를 공급해 현재 가동에는 문제가 없다는 게 포스코 측 입장이다. 고로와 파이넥스도 정상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 연합뉴스최정우 포스코 회장. 연합뉴스


이번 화재가 미칠 후폭풍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내년 초 임기 만료를 앞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사실상 3연임에 나서기로 하면서다. 그동안 재계에서는 “용산에서 최 회장을 탐탁치 않아 한다”는 이야기가 끊임없이 돌았다. 물론 포스코 회장 인선에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인 없는’ 기업의 특성상 정치권의 눈치를 살피지 않을 수 없다는 게 포스코 안팎의 분석이다.

현재 침묵을 지키고 있는 최 회장은 주변에 “자연스럽게 흘러가면 된다”고 소회를 밝히며 사실상 3연임 도전을 시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 19일 이사회를 통해 현직 회장의 의사 표명과 관계없이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시작되도록 규정을 바꾼 바 있다. 그는 또한 최근 3억 원 규모의 포스코홀딩스 주식을 사들이면서 간접적으로 재연임 의지를 표현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