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세훈 "전자기파 통한 도시 마비는 북핵위협 중 가장 근접"

서울시, 주요 기반시설 전자기파 방호대책 수립

국가행정망 장애·북핵 고도화 대비

필수 인프라 예방·유지·신속복구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2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북 EMP 위협에 따른 서울시 도시기능 유지방안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2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북 EMP 위협에 따른 서울시 도시기능 유지방안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는 도심 주요 기반 시설에 대한 고출력 전자기파(EMP) 방호대책을 수립했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발생한 국가 행정망 장애 사고와 북핵 EMP 위협 고도화 등으로 인한 비상 상황에 대비한 시민 안전 대책이다.

EMP는 인공적으로 발생하는 강력한 파장이 펄스 형태로 방출되는 고출력 전자기파다. 수백~수천㎞ 이내의 전기를 사용하는 의료기기, 통신·교통 수단, 공장 설비 등의 내부 회로를 순간적 또는 영구적으로 손상시켜 오작동 등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서울시는 주요 기반 시설 36곳 중 13개 시설을 찾아 EMP 설비 활용 실측 등을 통해 취약점을 분석·평가했다. 그 결과 13곳 모두 핵·비핵 EMP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전기·통신·수도·교통 등 필수 기반 시설(인프라)을 항상 유지하고 비상시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현실적이고 내실 있는 단계적 대응 로드맵을 수립했다. 피해 범위가 넓고 영향력이 큰 핵 EMP의 경우 민·관 공동 노력이 필요한 만큼 시 소관 시설의 방호대책을 세우고 추후 다른 기반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관련기사



도심 주요 시설뿐만 아니라 전기 등을 공급하는 지원시설도 신속 복구 체계를 마련하고 EMP 공격에 대한 시민 행동요령과 안전 매뉴얼 마련을 유관기관과 민간이 추진하도록 지원한다. 1단계 도입, 2단계 확대, 3단계 민관 협력 순으로 진행된다. 1단계는 방호 우선 시설 36개소, 2단계는 주요 기반 시설 629개소, 3단계는 변전소·통신망 등 민간지원시설과 개인(안전매뉴얼·행동요령)이 대상이다.

이와 함께 비핵 EMP 공격에 대한 현실성 있는 방호대책을 위해 사전 예방 활동과 복원력을 중심으로 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 관리적 방안은 EMP 관련 정책 수립, 경각심 환기, 방호, 대응 교육 등이다.

시는 '주요 기반 시설 대상 유형별 EMP 대응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유관 부서에서는 시의 재난 현장조치 매뉴얼을 검토해 EMP 영향이 예상될 경우 재난 유형에 따라 매뉴얼에 EMP 방호 대책을 추가한다. 물리적 방안은 주요 기반 시설 내에 엑스레이 검출기를 설치해 수하물, 차량, 방문자 등을 통제하는 계획이다. 기술적 방안은 차폐 시스템 구축과 EMP 필터 부착 등을 통한 전파 진행경로 환경 차단 등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북핵 위협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근접한 위험은 EMP 공격을 통해 서울 수도권의 통신, 전력, 이동 등 도시 기반을 일시에 마비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이를 항시 경계해야 한다"며 "이번 비핵화 EMP 대비 체계를 점차 핵 EMP 대응 체계로 고도화하면서 시민이 입을 수 있는 피해에 적극적으로 대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