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태영건설 워크아웃, 시장 전반에 영향 줄 경우 필요한 조치”

금융안정보고서 설명회서 밝혀

가격 지표 등 변동성 크지 않아

2011년 저축은행 때와 다른 양상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이 위치한 태영빌딩 로비의 모습. 연합뉴스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이 위치한 태영빌딩 로비의 모습. 연합뉴스




태영건설이 기업구조개선(워크아웃)을 신청한 가운데 한국은행이 이번 사태가 시장 전반에 영향을 주게 된다면 정부와 협의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이번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가 지난해 4분기 레고랜드 때와 달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28일 이종렬 한은 부총재보는 금융안정보고서 설명회에 참석해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금융시장 안정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만에 하나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면 한은도 정부와 잘 협력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날 한은은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김인구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가격 지표를 보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스프레드 등이 현재까지 변동 없다”며 “물량 지표는 연말이라는 계절적 요인으로 줄어든 상태이기 때문에 워크아웃 소식이 영향을 미쳤는지 당장은 알 수 없고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부동산 PF 사태가 2011년 저축은행 때와는 다르다고도 평가했다. 김 국장은 “저축은행 사태 당시엔 저축은행이 브릿지론 등에 과감하게 들어오면서 부실이 커졌던 부분이 있다”며 “지금은 PF ABCP 등 시장성 자금조달 수단이 많이 활용되기 때문에 금융기관들이 리스크를 나눠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배경이 된 부동산 PF 문제에 대해선 사업장별로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김 국장은 “부동산 PF 부실 규모를 판단하는 핵심은 미래 분양 가능성이나 현금흐름 상황인데 이건 금리 등 거시경제 여건과 연결돼 사업장별로 평가해야 한다”며 “감독 당국이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