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태영건설, 대주주서 1133억 수혈…7200억 빌려준 금융권도 '긴장'

■워크아웃 신청…채권 일부 손실 가능성에 촉각

산은 2002억·국민銀 1600억 달해

정부 "시장 안정화 프로그램 확대"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28일 최대주주로부터 1133억 원을 긴급 수혈 받았지만 이미 막대한 자금을 빌려준 금융권은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국내 은행권에서만 수천억 원대의 대출을 제공한 만큼 채권 일부에 대한 손실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태영건설은 최대주주인 티와이홀딩스로부터 운영 자금 및 유동성 확보를 위해 1133억 원을 단기차입하기로 했다. 태영건설은 올해 초에도 티와이홀딩스로부터 4000억 원을 장기 차입한 바 있다.

관련기사



태영건설은 올해 3분기 말 기준 장기 차입금 1조 4942억 원, 단기차입금 6608억 원을 보유한 상태다. 이 가운데 국내 은행권이 태영건설에 빌려준 자금은 장기 차입금 4693억 원과 단기차입금 2250억 원 등 총 7243억 원이다. 장기 차입금에는 일반·시설 자금 대출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포함된다.

은행별로는 주채권 은행인 산업은행이 PF 대출 1292억 원, 단기차입금 710억 원 등 2002억 원으로 가장 많은 채권을 보유했다. 이어 국민은행 1600억원, IBK기업은행 996억원, 우리은행 720억 원,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각각 600억 원 의 차입금을 내줬다.

보험사·증권사·제2금융권 등으로부터 빌린 금액도 상당하다. 한화생명보험 845억 원, 농협손해보험 333억 원, 한화손해보험과 푸본현대생명보험이 각 250억 원의 대출을 제공했다. 증권사 중에는 KB증권이 412억 원의 PF 대출을, 하나증권이 300억 원, 한양증권이 100억 원의 단기차입금을 각각 대출해줬다. 이 밖에 신협중앙회가 397억 원의 PF 대출을, 새마을금고가 PF 대출과 단기차입금을 더해 총 693억 원을 빌려준 것으로 나타났다. 애큐온저축은행도 50억 원의 단기차입금을 제공했다.

이처럼 국내 금융권이 제공한 막대한 규모의 대출 채권에 대한 손실 우려가 커지자 금융 당국은 시장 안정화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불안 심리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관계 기관 간 긴밀한 공조하에 현재 운영 중인 시장 안정 프로그램들의 규모와 내용을 적시에 대폭 확대·보완하는 등 충분하고 과감한 선제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