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軍, 2030년까지 7400억 투입해 ‘대통령 전용헬기’ 교체

미국 록히드마틴의 자회사인 시코르스키에서 제작한 중대형 헬리콥터인 ‘S-92’를 VIP 수송용으로 개조해 사용하고 있는 대통령 전용 지휘헬기 ‘VH-92’. 연합뉴스미국 록히드마틴의 자회사인 시코르스키에서 제작한 중대형 헬리콥터인 ‘S-92’를 VIP 수송용으로 개조해 사용하고 있는 대통령 전용 지휘헬기 ‘VH-92’. 연합뉴스




2030년까지 약 7400억 원을 투입해 대통령 전용헬기(지휘헬기)를 교체한다.



또 한국형 전투기 KF-21에 탑재될 공대공유도탄이 국내 기술로 개발된다.

방위사업청은 29일 제15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 회의에서 KF-21에 장착될 단거리공대공유도탄을 확보하는 단거리공대공유도탄-Ⅱ 사업을 국내 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대통령 전용헬기를 구매하기 위한 ‘지휘헬기-II 사업’ 노무현 정부 후반기인 2007년 11월에 도입돼 현재까지 운용 중인 미국 록히드마틴 S-92를 귀빈용으로 개조한 ‘VH-92’가 노후화된데 따른 후속 조치다. 통상적인 교체주기인 10년이 넘어가면서 신규 도입 필요성이 꾸준하게 제기됐다.



군 당국은 대통령 전용헬기가 3대만 운용되는 점을 감안해 국내개발 대신 국외구매를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관련기사



후보기종으로는 △H225M(에어버스) △Bell 525(벨) △AW101(레오나르도) △S-92A+(록히드마틴) 등이 거론된다.

군 관계자는 “적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이 보강된 신규 지휘헬기를 도입해 안정적인 지휘공수 임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또 2035년까지 약 5919억원을 투입해 KF-21과 연계한 공대공유도탄을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날 방추위에선 △공대지유도탄(AGM) 최초 양산 사업 계획 △해상작전헬기-Ⅱ 사업추진 기본전략 △지휘헬기-Ⅱ 사업추진 기본전략 △UH/HH-60 성능개량사업 체계개발 기본계획도 심의·의결됐다.

AGM은 육군의 항공 타격 작전과 공중강습 작전을 수행하는 소형무장헬기(LAH)에 탑재될 공대지유도탄으로 국내에서 양산된다. 2031년까지 7248억원이 투입되는 AGM 양산 사업이 끝나면 LAH는 적의 기갑·기계화 부대를 격멸하는 육군의 핵심 전력이 될 것으로 방사청은 기대했다.

노후화된 해상작전헬기 링스를 대체하는 신형 헬기를 도입하는 해상작전헬기-Ⅱ 사업과 신규 지휘헬기를 확보하는 지휘헬기-Ⅱ 사업은 국외 구매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해상작전헬기 사업의 후보기종으로는 미국 록히드마틴의 MH-60R과 유럽 NH-인더스트리의 NH-90이 예상된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