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인도 제조업 육성 초당적 공감대…총선 이후에도 변함 없을것"

[2024 신년기획-결단의 해, 막 오른 경제전쟁]

◆ 印 경제정책 석학 2인 인터뷰

서비스업만으론 경제성장에 한계

과감한 재정투입 통해 제조업 지원

글로벌 기업 투자 이끌어 윈윈 모색

가치 공유 美와 협력 더 강화될 듯


“한국에서 제조업이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하는 비중은 30% 가까이 됩니다. 인도의 경우 18% 수준입니다. 인도 경제에서 제조업 파이를 키워야 합니다.”

지난해 11월 서울경제신문이 인도 뉴델리에서 만난 인도 경제정책 분야 석학들은 “인도의 경제를 키우려면 제조업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인도 입장에서는 첨단 기술 도입, 수출 경쟁력 강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한꺼번에 도모하기 위해 생산연계인센티브(PLI)와 가티샤크티 등 과감한 재정 투입을 통한 산업 육성 프로젝트가 필요했다는 뜻이다. 인도의 대외 경제정책에 대해서는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인도와 미국 간 협업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라지브 쿠마르 전 인도국가개혁위원회(NITI Aayog) 부의장은 “모든 정당에서 인도의 GDP 내 제조업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며 “총선 이후에도 인도의 제조업 육성 정책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지브 쿠마르 전 인도국가개혁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라지브 쿠마르 전 인도국가개혁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라지브 쿠마르 전 부의장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인도 정부의 핵심 싱크탱크인 국가개혁위원회의 부의장을 지냈다. 국가개혁위원회 의장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맡고 있다.

관련기사



라지브 쿠마르 전 부의장은 PLI 정책 수립 당시를 회고하면서 “전자기기·원료의약품(API)·방산 분야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시작점이었다”고 했다. 그는 “처음에는 ‘인도가 전자 소프트웨어에서 매우 잘해왔지만 전자 하드웨어에서는 뒤처져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며 “그러다가 수입 의존도가 80% 가까이 되는 원료의약품 분야 등으로 확장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의 산업·대외경제정책 분야 국책연구소인 인도산업발전연구원(ISID)의 나게시 쿠마르 원장도 “그간 인도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성과를 보여왔던 서비스업만으로는 경제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조합이 중요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나게시 쿠마르 원장은 PLI에 대해 “경제 침체 극복을 위한 정책 패키지의 일부였다”며 “보다 큰 기업들이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촉진하기 위해 생산의 지역화가 필요한 14개 산업 부문에 PLI 지원책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나게시 쿠마르 인도산업발전연구원 원장.나게시 쿠마르 인도산업발전연구원 원장.


그는 인도의 경제정책이 ‘다국적 기업과의 윈윈’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한다. 인도는 전체 인구의 65%에 해당하는 약 9억 명이 만 35세 미만일 정도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인도 입장에서는 이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확보가 필요하다. 이 가운데 인건비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 다국적 기업이 진출할 유인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나게시 쿠마르 원장은 “고령화로 노동 가능 인구가 줄고 있는 국가들과 정반대로 인도에는 젊은 노동력이 풍부하다”며 “다국적 기업은 인도에 투자해 인건비를 낮출 수 있고 인도는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그는 “인도는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와 노동력 규모 측면에서 강점이 있기 때문에 IT 하드웨어와 자본 규모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한국 같은 국가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가 주요 ‘윈윈’ 대상으로 삼는 곳은 ‘차이나+1’을 꾀하는 미국과 그 우호국들이다. 나게시 쿠마르 원장은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 측면에서 인도를 향한 정책을 펼치고 있어 양자 간 파트너십은 더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델리=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