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신규 등록된 전기버스 중 절반 이상이 중국산 전기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국산 전기차에 유리한 방식으로 보조금 정책을 펴고 있지만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중국산의 시장점유율은 빠르게 늘고 있다.
1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전기버스 2821대 중 1528대는 수입산으로 54.2%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대부분은 비야디(BYD)와 하이거 등 중국 업체에서 생산한 전기버스에 해당한다. 연간 기준으로 중국산 전기버스의 등록 대수가 국산 전기버스를 앞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중국 등 수입산 전기버스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2017년 25.3%에서 6년 만에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중국산 전기버스는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삼아 국내 시장에 빠르게 침투했다.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중국 전기버스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해 가격을 낮춘 것이다. 높은 에너지밀도를 자랑하는 NCM(니켈·코발트·망간) 삼원계 배터리를 적용한 국산 전기버스는 대당 3억 5000만 원 수준인 반면 중국산 전기버스는 이보다 1억 원가량 저렴하다.
정부는 고성능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중국산을 견제하고 있다. 환경부가 최근 발표한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은 에너지밀도와 재활용 가치가 높은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혜택을 늘린 반면 저효율 배터리의 전기차에 대해서는 혜택을 줄이도록 했다.
업계에서는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에픽시티’ 등 중국산 전기버스가 최근 NCM 배터리를 탑재하는 등 국내 보조금 정책에 서둘러 대응하는 것도 이러한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배터리 성능이나 재활용 가치에 따른 보조금 차액이 크지 않다 보니 LFP 배터리를 적용해도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중국산 버스의 경우 공급 단가가 워낙 저렴하기 때문에 보조금이 줄더라도 수요에 큰 영향을 주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