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조용한 공천' 與, 쌍특검 재표결 피해 '텃밭' 속도조절

'강세지역' 강남·영남권 14곳 공천 보류

장동혁 "공천 발표 가장 늦어질 수 있어"

쌍특검법 연관성에 韓 "잘못된 시각" 일축

이명수 불출마·박민식 경선포기 등 교통정리

한동훈(왼쪽)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7일 서울 성동구의 한 북카페에서 기후 미래 스타트업 창업자들에게 '기후 미래 택배'를 전달한 뒤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동훈(왼쪽)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7일 서울 성동구의 한 북카페에서 기후 미래 스타트업 창업자들에게 '기후 미래 택배'를 전달한 뒤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인적 쇄신 없는 ‘무(無)감동 공천’이라는 당 안팎의 비판 속에서도 서울 강남과 영남권 등 ‘텃밭’ 지역에 대한 공천 속도 조절에 들어가고 있다. 29일로 예정된 ‘쌍특검법(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대장동 50억 클럽 의혹 특검 법안)’ 재표결을 앞두고 물갈이 가능성이 높은 현역 의원들의 이탈표를 막는 동시에 공천 탈락 후폭풍에 대비한 사전 물밑 조율을 마무리하겠다는 판단에서다.



27일 현재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아직 공천 방식을 정하지 못한 보류 지역 63곳 중 강남·영남권은 14곳으로 22.2%를 차지한다. 지금까지 김희국(경북 군위·의성·청송·영덕)·장제원(부산 사상)·김웅(서울 송파갑)·윤두현(경북 경산)·이달곤(경남 창원·진해) 의원 등 일부 지역구 의원들의 불출마와 ‘낙동강 벨트(조해진·김태호·서병수)’에 대한 지역구 재배치만 있었을 뿐 당 차원에서 직접 컷오프(공천 배제) 결정을 내린 사례는 없었다.

관련기사



국민의힘이 서울 강남과 영남 등 텃밭 지역에 대한 공천을 미루고 있는 것은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다뤄질 ‘쌍특검법’ 재표결과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공천에서 탈락한 현역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질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회의 직전까지 최대한 공천 발표를 늦추고 있다는 분석이다. 장동혁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서울 강남·영남 지역 공천 발표가) 가장 늦어질 수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이유를 일일이 말하기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당 지도부는 쌍특검법 재표결과 공천 작업은 별개의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쌍특검법 재표결 때문에 공천 잡음을 최소화한다는 것은) 잘못된 시각”이라며 “지난해부터 있었던 일인데 (민주당이) 왜 이렇게 끌었던 것인지 그걸 물어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아직 지역구 현역 의원에 대한 컷오프는 없지만 경선 포기나 불출마 같은 방식으로 교통정리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날 4선의 이명수(충남·아산갑) 의원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고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은 서울 영등포을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한 위원장은 “박 전 장관과 같은 큰 정치인은 국민의힘과 함께해야 우리가 이길 수 있다”며 부산 지역 재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공관위는 김영식 의원과 강명구·허성우 전 대통령실 비서관이 맞붙는 경북 구미을에 대한 후보 재배치 작업과 함께 일부 우세 지역에 출마할 후보를 국민들로부터 직접 추천받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