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10년 만에 역성장…K게임 '레벨 다운'

◆지난해 국내시장 규모 11% 급감…매출 20조 깨져

작년 상반기 수출도 34억弗 6%↓

과금모델 등 한계…체질개선 시급






국내 게임 시장이 역성장하고 해외 수출액도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체질 개선과 산업 육성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 엔데믹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성장 등 게임 시장을 둘러싼 외부 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경쟁력 있는 신작 출시와 플랫폼 다양화 및 시장 다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아울러 블록체인·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게임에 대한 규제를 최소화하고 개발자 양성과 수출 지원 등 정부 차원의 산업 진흥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관련기사



10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3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19조 7900억 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2022년(22조 2149억 원) 대비 10.9% 감소한 것으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성장세를 이어오던 국내 게임 시장 규모가 줄어든 것은 10년 만이다. 실제로 서울경제신문이 국내 주요 10개 게임사의 지난해 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2.3%와 8.9% 감소했다.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개발자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국내 게임 수출액은 34억 4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성장세를 구가하던 글로벌 게임 시장은 엔데믹에 따른 재택 시간 감소로 이용률이 하락하고 OTT 등 다른 엔터테인먼트가 확장하면서 수축기를 맞았지만 국내 게임 산업의 경쟁력 약화는 상대적으로 도드라진다.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로 수요가 줄어든 측면이 크지만 ‘배틀그라운드’ ‘검은사막’과 같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만한 대형 신작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PC·모바일 위주인 플랫폼을 콘솔·아케이드 등으로 확장하는 데 소홀하면서 해외 시장 공략에 한계를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장르 측면에서도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쏠림 현상이 여전하고 돈을 써야 이기는 구조인 ‘페이 투 윈(pay to win)’ 과금 모델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에서 각종 규제로 인해 고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산 게임의 완성도가 높아지면서 안방에서마저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정부가 게임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지원을 강조하면서도 확률형 아이템 표시 의무제 도입 등 소비자 보호에 치중하는 것도 게임 업계를 위축시킨다는 지적이다. 강신진 홍익대 게임학부 교수는 “MMORPG 장르와 ‘페이 투 윈’ 과금 모델 등 기존 성공 방정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며 “K콘텐츠의 주축인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책이 나와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