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의교협 “의대 2000명 증원 철회를…백지화가 0명 요구는 아냐”

"충북의대 등 증원된 인원 교육 불가능

'증원 백지화'가 0명 늘리자는 것 아냐"

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이 25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이 25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가 “의대 2000명 증원을 철회해야 정부와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추계는 수용할 수 있다”며 논의의 여지도 열어놨다.



전의교협은 25일 연세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의 회동에서 이같은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전의교협은 “전공의에 대한 처벌은 의대 교수의 사직을 촉발할 것이고 우리나라 의료체계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전달했다”며 “전공의와 학생, 의료진에 대한 고위 공직자의 겁박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전의교협은 정부의 의대 증원이 의학 교육의 질을 저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전의교협은 “현 인원보다 4배 증가하는 충북의대와 부산의대 등에서는 교육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정부에 의한 입학 정원과 정원 배정의 철회가 없는 한 이번 위기는 해결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25일부터 예정된 교수들의 사직과 진료 시간 축소 또한 변함이 없다고 했다.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은 이날 질의응답에서 “입학 정원 2000명 증원은 현재 의대에서 교육을 도저히 할 수 없는 정도 수준이어서 수용할 수가 없다”며 “내년에 입학 정원을 다시 축소한다고 해도 한 번 증원을 하고 나면 5~6년, 수련 기간을 포함하면 10년간 영향이 이어지기 때문에 지금 다시 논의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김 회장은 의대 증원 규모 조정에는 협상 가능성을 열어놨다. 김 회장은 “(의대 증원) 숫자를 정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면서도 “백지화가 ‘0명’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과학적 사실과 정확한 추계, 현재 교육 및 수련 여건을 기반으로 한 결과가 나온다면 누구나 수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진료시간을 축소해 대화할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김 회장은 “협의체 구성이나 전공의 처벌 유예에 대한 언급은 과거보다 진일보한 제안으로 생각하지만 문제는 그 제안의 구체성이나 협의체에서 다룰 내용이 자세하게 정리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교수들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입원한 중환자와 응급 환자에 역량을 쏟아붓기 위해서는 외래 진료를 점진 축소하는 게 제일 좋은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