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전국민 25만 원 지급' 공약에…김동연 "취약계층 우선 지원해야"

'경기북도 분도' 국토 전체 위해 필요해

尹 민생토론회, "노골적 관건선거" 비판

김동연 경기지사가 14일 오후 충남 공주대학교에서 공주대 학생과 교수들을 상대로 강의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동연 경기지사가 14일 오후 충남 공주대학교에서 공주대 학생과 교수들을 상대로 강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전 국민 1인당 25만 원 민생지원금' 지급 공약에 대해 반대 의견을 냈다. 윤석열 대통령의 전국 순회 민생토론회에 대해서는 ‘노골적인 관건선거’라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27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전 국민 대상보다는 소상공인이나 취약 계층 등 어려운 계층을 촘촘하고 두텁게 보호하는 것이 경기 진작이나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더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에 이어 다시금 이 대표와 다른 목소리를 낸 것이다. 김 지사는 “추경 등 확장적 재정정책에 대해서는 같은 생각을 하지만 재정정책을 쓸 때 어디에 어떻게 쓰느냐가 대단히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 지사는 이어 “통화 정책과 달리 재정 정책은 타케팅을 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서 "재정 정책으로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을 타겟팅해서 두텁게 보호하는 것은 물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경기 진작과 지금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방향일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선별이라기엔 그 대상범위가 넓다. 지금 소상공인·취약계층만 해도 대단히 인원수가 많다. 이들에게 보다 두텁게 지원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선별적'이 아니라 '제한된 보편적 지원'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지사는 앞서 이 대표와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경기북도 분도’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이 대표와) 뜻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민주당이 지탱해 온 가치 철학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균형발전이다. 민주당의 이 가치와 철학을 견지하면서 경기북부를 나눠 대한민국을 발전시키겠다고 하는 것이다. 이 대표나 그 누구도 반대할 수 없는 나아갈 길"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추진 방법과 속도에서는 여러 의견이 나올 수 있다. 이 대표도 큰 원칙은 같은 입장이라고 생각한다. 총선 뒤 같이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전국순회 민생 대토론회에 대해서는 '노골적인 관권선거'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그는 "토론회에서 엄청난 돈 얘기를 하고 있는데, 그건 노골적인 관권선거다. 또 지역 개발 공약을 계속 얘기하는데, 민생이 뭔지 알고 얘기하는지 모르겠다"고 윤 대통령을 직격했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