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올 여름 얼마나 더울까…“기후변화로 폭염 더 오래 지속될것”

1979년 이래 전 세계적 열파 연구결과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기후변화로 열파(폭염·heat wave)가 더 느리게 이동해 더 오래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P, AFP 통신 등 외신은 2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전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1979년 이래 전 세계적으로 열파가 20% 더 느리게 이동하고, 67% 더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는 더 많은 사람이 더위에 더 오래 노출된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또 폭염 기간 최고 기온은 40년 전보다 더 높고 ‘열돔(heat dome)’ 현상이 나타나는 지역도 더 넓은 것으로 드러났다. 열돔은 고기압이 한 지역에 정체돼 뜨거운 공기가 갇히면서 가마솥더위가 이어지는 현상을 뜻한다.

그동안에도 폭염이 악화하고 있다는 연구들은 나왔지만 이번 연구는 기온과 지역뿐 아니라 폭염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는지, 어떻게 각 대륙을 이동하는지에 대해 분석했다.

전 세계적으로 폭염은 1979년부터 1983년까지 평균 8일간 지속됐지만 2016년부터 2020년까지는 최대 12일까지 지속됐다. 특히 유라시아가 더 길어진 폭염으로 더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인 미국 유타주립대학교 기후학자 웨이장은 "열파가 더 느리게 이동한다는 것은 폭염이 해당 지역에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다는 뜻"이라면서 이것이 "우리 인간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엄청날 것이며 수년에 걸쳐 더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녹색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거나 일부 사람들을 위한 냉방 공간이 많지 않은 도시와 빈곤 계층에 더 위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