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환경 단체가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와 씨티 등 글로벌 은행에 한국전력(015760)의 채권 발행을 돕지 말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한전이 석탄화력 발전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인데 20조 원 규모의 외화 부채를 포함해 총 200조 원의 빚을 안고 있는 한전의 해외채 발행 여건 악화가 우려된다.
26일 서울경제신문이 단독 입수한 환경 단체 톡식본즈네트워크(Toxic Bonds Network)의 서한을 보면 해당 단체는 24일 브라이언 모이니핸 BofA 최고경영자(CEO)에게 “한전 및 발전 자회사의 채권 발행을 지원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BofA가 2022년부터 올해까지 한전채 38억 달러(약 5조 2300억 원)의 공동 주관사 역할을 했다”며 “미국 은행의 채권 발행 참여는 한전의 석탄발전 확장 계획을 명백히 지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단체는 또 “한국은 에너지원의 약 40%를 석탄에 의존한다”며 “(한전은) 화력발전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시장을 활용하는 30개 기업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톡식본즈네트워크는 글로벌 투자자와 금융기관의 화석연료 관련 채권 매입을 막는 환경 단체다. 이들은 제인 프레이저 씨티 CEO에게도 “씨티가 2019년부터 51억 달러 규모의 한전채 발행을 도왔다”며 이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단체는 일본 은행 미즈호와 영국 스탠다드차타드 CEO에게도 같은 취지의 서한을 발송했다. 미즈호의 주관 규모는 3억 달러, 스탠다드차타드는 2억 달러 규모다. 이들은 은행들에 다음 달 8일까지 서한에 대한 공식 답변을 요청했다.
이들은 한전의 녹색채권이 화력발전 관련 사업에 쓰일 수 있다는 주장도 폈다. 한전은 2019년 첫 녹색채권을 찍어 올 1분기까지 총 41억 달러를 발행했다. 이들은 “2022년 발행된 16억 달러의 녹색채권 가운데 7억 8340만 달러는 어디에 쓰였는지 보고되지 않았다”며 “BNP파리바는 한전채를 보유하지 않고 사들일 계획도 없다고 밝혔으며 네덜란드의 APG도 비슷한 결정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전 관계자는 “외부 기관 인증을 받아 지금까지 발행한 녹색채권 자금 사용처를 공개해왔다”며 “미공개된 추가 할당 내역은 상반기 중 공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