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태양전지보다 발전효율 1.5배 높아…“탠덤 셀, 韓 태양광의 미래”

큐셀 탠덤 셀 개발 진두지휘 김기홍 상무 인터뷰

올 하반기 40㎿ 첫 파일럿제품 생산 앞둬

"발전효율과 대면적화 두 마리 토끼 잡는 전략 추구"

탠덤 셀, '물량 공세' 中에 대응할 게임 체인저

김기홍 한화큐셀 탠덤 태양전지 상업화 개발 팀장이 3일 서울 중구 한화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화큐셀김기홍 한화큐셀 탠덤 태양전지 상업화 개발 팀장이 3일 서울 중구 한화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화큐셀





“페로브스카이트-탠덤 셀은 한화큐셀뿐 아니라 한국 태양광의 미래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순항 중인 탠덤 셀 개발을 성공으로 마무리하는 데 명운을 걸고 있습니다.”

한화큐셀의 김기홍 탠덤 태양전지 상업화 개발 팀장(상무)은 12일 서울경제신문 기자와 만나 탠덤 셀 성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2010년 한화케미칼 솔라연구센터 수석연구원으로 합류한 그는 중국과 독일 연구소를 거쳐 2020년부터 탠덤 셀 개발을 진두지휘하는 선봉장 역할을 맡고 있다.



그의 말 대로 탠덤 셀 개발은 한화큐셀로서는 반드시 완수해야 하는 임무다. 실리콘에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페로브스카이트 셀을 얹는 탠덤 셀은 실리콘만 사용하는 태양전지보다 발전 효율이 1.5배가량 높아 태양광 산업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다. 김 상무는 “한국이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리더로 다시 치고 나갈 수 있는 기술이 탠덤 셀”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2020년부터 본격화한 한화큐셀의 탠덤 셀 개발은 판교와 독일 탈하임, 충북 진천공장 3각 편대로 진행돼 왔다. 올 하반기 첫 결과물을 앞두고 있다. 1300억 원을 투자해 충북 진천 공장에 짓기 시작한 파일럿 라인이 모두 지어져 마무리 단계인 최적화 작업이 한창이다. 첫 탠덤 셀의 규모는 40㎿다. 김 상무는 “양산성을 시험해볼 수 있는 충분한 양”이라며 “앞으로 GW 단위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화큐셀의 탠덤 셀 개발의 핵심은 대면적화다. 각국의 기업과 연구기관은 탠덤 셀의 발전 효율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단위 소형 셀 위주의 기술 싸움을 벌이고 있다.

김 상무는 “지난해부터 대면적화로 개발 방향을 전환했다”며 “기술뿐 아니라 대형 발전소에 적합하도록 셀을 크게 만들기 위해 균일화 기술과 관련 공정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발전 효율과 대면적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다는 전략도 세웠다. 그는 “일정한 효율을 20년 동안 낼 수 있도록 수명을 유지하는 작업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면적화 전략의 배경에는 중국의 물량 공세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 최근 중국 태양광 셀은 한 개당 단가가 20센트(약 275원)까지 낮아졌다. 중국산 태양광 모듈 비중이 전 세계 80%에 육박하는 원인이다. 고효율의 대면적 탠덤 셀은 이런 상황에서 중국을 따돌릴 수 있는 비장의 카드다.

김 상무는 “최근 참석한 국제 페로브스카이트 포럼에서 90% 이상이 중국 기업 또는 기관 출신이었다”며 “중국 태양광이 양뿐만 아니라 질에서도 앞서 나갈 시기가 멀지 않았다”고 우려했다.

김기홍 한화큐셀 탠덤 태양전지 상업화 개발 팀장이 3일 서울 중구 한화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화큐셀김기홍 한화큐셀 탠덤 태양전지 상업화 개발 팀장이 3일 서울 중구 한화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화큐셀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