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하이브리드車 세제 감면 올해로 끝?…미래차 준비 늦은 중소부품사부터 타격

■내달말 연장 여부 결정

업계, 2027년까지 유지 건의에도

정부, 내부적으론 일몰에 무게

미래차 준비 안된 부품사 비상

르노·KG 등도 신차 계획 차질

기아가 이르면 올 하반기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셀토스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사진 제공=기아기아가 이르면 올 하반기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셀토스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사진 제공=기아




올해 말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세제 감면 제도의 일몰이 도래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현재 하이브리드차는 친환경차로 분류돼 신차 구매 시 개별소비세의 경우 최대 100만 원, 취득세는 40만 원 한도 내에서 깎아주고 있다. 하지만 세수 부족을 겪고 있는 정부가 최근 판매량이 급증한 하이브리드차의 세제 혜택 종료 카드를 검토하면서 신차 출시를 앞둔 중소 완성차 업계는 물론 부품 업계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최근 정부에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개소세와 취득세의 감면 한도를 2027년까지 현행대로 유지해달라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하이브리드차 구매 시 기획재정부는 개소세(조세특례제한법)를 최대 100만 원, 행정안전부는 취득세(지방세특례제한법)를 최대 40만 원씩 깎아주고 있다. 정부는 6월 말까지 의견을 수렴한 후 결론을 낼 방침이지만 내부적으로는 혜택을 없애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업계는 하이브리드차가 내수 판매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 개소·취득세 감면이 동시에 종료되면 완성차 업계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차에 대한 개소세 30% 인하 조치가 끝난 지난해 6월 이후 내수 판매는 지난해 11월 한 달을 제외하고 매달 줄었다.

하이브리드차는 더욱이 내연기관과 디젤차의 수요를 대체할 뿐 아니라 ‘캐즘’을 겪고 있는 전기차의 수요까지 책임지고 있다. KAMA에 따르면 2019년 10만 4094대에 불과했던 하이브리드차의 국내 판매량은 지난해 39만 898대로 4년 사이 276%나 성장했다. 내수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5.8%에서 22.35%로 늘었다. 올해 1분기에도 국내에서 12만 1962대가 팔렸고 비중은 30.44%까지 높아졌다.




현대차·기아에서는 이미 하이브리드가 내연기관 판매량을 압도하는 차종들이 나오고 있다. 4월 말 기준 현대차 그랜저는 하이브리드의 판매량이 1만 650대로 가솔린(1만 133대)보다 높다. 투싼과 싼타페의 하이브리드 판매량 역시 각각 8479대, 1만 9751대로 두 차종의 내연기관 판매량(7529대, 9409대)을 웃돌고 있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모델은 내연기관 모델보다 300만 원 안팎 비싸 최대 140만 원인 세제 감면이 구매 심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세제 혜택이 종료되면 하이브리드 판매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현대차·기아뿐 아니라 새롭게 하이브리드차를 출시할 중소 업체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하반기 하이브리드 신차 출시를 계획 중인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두 기업 모두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세제 감면 연장을 전제로 가격과 판매 전략을 수립했기 때문이다.

르노코리아는 하반기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오로라1’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KG모빌리티도 내연기관·전기차 중심의 라인업을 하이브리드로 확대하기 위해 토레스의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하이브리드차를 전동화 전환의 징검다리로 삼으려 했던 중소 부품사들 또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KAMA가 2022년 말 국내 부품사 35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전기차 등 미래차 부품을 준비하지 못한 기업의 비중이 62.3%에 달했다. 전동화 전환이 늦은 부품사들 입장에서는 내연기관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의 판매가 이어져야 미래차를 준비할 시간을 벌 수 있다.

하이브리드차 시장 공략에 나선 부품 회사들도 세액 감면 연장을 바라고 있다. 하이브리드차가 내연기관차보다 단가가 높아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까닭이다. 로케트 배터리로 유명한 세방전지의 영업이익은 2022년 811억 원에서 지난해 1299억 원으로 60%나 뛰었다. 내연기관차용 납축전지가 수요 부진을 겪은 반면 친환경차용 고성능 전지 수요는 증가한 덕택이다.

충남 소재 자동차 부품사 대표는 “하이브리드차용 부품 생산라인의 증설을 고민하는 상황에서 세액 감면 혜택이 끝난다면 투자 계획을 축소할 수밖에 없다”면서 “부품 업계의 전동화 전환을 위해 정부가 친환경차 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민우 기자·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