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인터뷰] 손창우 법인장 “LG전자, 통상환경 급변 땐 美 생산 확대도 검토”

■테네시 공장 법인장 특파원 간담회

증설 공간 충분한 테네시 공장

세탁기 외 가전 생산여력 확보

부품 공급망 리스크 대비 만전

손창우 LG전자 테네시 공장 법인장이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미국 테네시주 클라크스빌 공장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특파원공동취재단손창우 LG전자 테네시 공장 법인장이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미국 테네시주 클라크스빌 공장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특파원공동취재단




미국 테네시주에 위치한 LG전자 가전 공장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당시 미국의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 조치) 등 무역장벽에 맞서기 위해 지어졌다. 미국의 견제로 현지 생산이 시작됐으나 결과적으로 이 공장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 LG전자의 지배력은 확고해졌다. 11월 대선을 앞두고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극도로 높아지면서 LG전자는 세탁기와 건조기 외 생활 가전도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LG전자 테네시 공장의 손창우 법인장은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미국 테네시주 클라크스빌 공장에서 워싱턴 특파원단들과 만나 “(대선 이후) 통상 이슈가 생길 경우 기존 제품 외에도 냉장고나 TV 등의 생산에 충분이 대응할 수 있고, 그런 계획들은 검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의 ‘보편적 관세 10% 부과’와 조 바이든 행정부의 ‘301조 대중 관세’ 등을 두루 언급하면서 “바이든이라고 해서 좀 더 낫다거나 트럼프가 좀 더 힘들다는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으로 글로벌 무역 환경이 송두리째 달라지는 상황인 만큼 미 현지에서도 복합적인 대비를 해야 한다는 취지로 읽힌다.

관련기사



손 법인장은 그러면서 LG전자가 현재 세탁기와 건조기를 생산하는 테네시 공장에 추가 공장동 3개를 지을 공간이 충분하다고 했다. 그는 “미 업체 월풀이 계속해서 (해외 업체들을) 공격하고 있고 냉장고나 오븐으로도 이를 확대하는 움직임”이라고 전했다.

LG전자는 또 미국의 부품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멕시코에 부품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공급망 리스크에 대비하고 있다. 테네시 공장 운영 측면에서는 인공지능(AI) 기반 통합 생산 체계를 갖추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테네시 공장의 자동화율은 현재 64%로 내년에는 70%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 세계 생활 가전 제조 공장 기준으로 최고 수준이다.

.


클라크스빌(테네시주)=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