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전대 '민심 20%' 반영…韓 내주 출사표 던질 듯

초·재선 의원들 10여명과 연대

'릴레이 회동' 통해 친한계 구축

당권 넘어 '당 장악력' 강화 포석

경쟁 당권주자들 韓 향해 견제구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의 ‘게임의 룰’이 당원 투표 100%에서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 반영으로 변경되면서 당권 주자들의 발걸음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 대표 경선의 최대 변수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미 당내 우군 확보에 나서면서 출마 채비에 고삐를 당겼다. 출마가 거론되는 후보들도 바뀐 당 대표 선출 규칙을 놓고 유불리에 대한 셈법 계산에 돌입하며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지도부 선출 방식을 ‘당원 투표 80%,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로 결정했다고 김민전 수석대변인이 밝혔다. ‘김기현 지도부’를 출범시킨 현행 ‘당원 100%’ 규정에서 민심 반영 비율을 높인 것이다. 이준석 전 대표가 선출됐던 2021년 전당대회의 ‘당심 70%, 민심 30%’ 방식과 비교해서는 당원들의 권한 보장에 무게가 실렸다.





김 수석대변인은 “‘8대2’가 비대위원들의 다수안이었다”며 “지난 전당대회에서 비율을 크게 움직일 경우 제도의 안정성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와 당심의 중요성, 당원 배가 운동의 필요성 등이 거론돼 열린정당·민주정당으로 가기 위해 민심을 무시해선 안 된다는 차원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전당대회 룰이 확정되면서 당권 경쟁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당권 경쟁의 ‘키맨’인 한 전 위원장은 전당대회 후보 등록이 예정된 다음 주 중 차기 당 대표 출사표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당 안팎에서는 “당심과 민심 모두 ‘어당한(어차피 당 대표는 한동훈)’을 가리키고 있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한 전 위원장 역시 룰 세팅이 이뤄지기 전에 일찌감치 당내 인사들과의 릴레이 회동을 통해 ‘정치 세력화’를 꾀해왔다. 주로 비상대책위원회 활동과 영입 인사로 연을 맺은 초·재선 의원들이다. 친한계의 한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이 사실상 출마로 마음을 굳혔고 함께할 만한 사람들과 일대일로 만남을 가지고 있다”며 “일종의 캠프가 꾸려져가는 단계로, 조만간 어떤 형태든 출마 의사를 밝힐 것”이라고 전했다.

한 전 위원장이 ‘친한 그룹’ 형성에 공을 들이는 데는 비대위 시절 친윤계(친윤석열계)의 견제를 받은 학습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권을 거머쥐더라도 원외 당 대표의 한계로 ‘당 장악력’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할 원내 인사들을 최대한 ‘내 편’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총선 사무총장을 맡았던 장동혁 의원이 ‘친한계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김형동·박정하·김예지·한지아 의원 등 ‘한동훈 비대위’ 주요 멤버들과 영입 인재 출신의 정성국·고동진·김상욱 의원 등 10명 안팎의 초·재선 의원들과의 연대를 꾀할 것으로 알려졌다.

나경원·안철수·윤상현·권성동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 다른 당권 주자들도 출마 여부를 두고 고민에 들어갔다. 특히 최대 경쟁자인 한 전 위원장을 집중적으로 견제하는 분위기다. 나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해 “정치의 전장이 국회 중심이다 보니 원외 당 대표의 경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총선 패배에 책임지고 사퇴한 분이 그 자리에 다시 나오겠다고 한다”고, 직전 당 대표였던 김기현 의원은 “실패한 리더십”이라고 쏘아붙였다.

민심 반영 비율을 두고는 주자별 평가 엇갈린다. 권 의원은 “한 번밖에 안 된 룰을 바꾼다는 것은 총선 패배 책임을 다른 데로 돌리는 것밖에 안 된다”고 꼬집은 반면 안 의원은 “당이 달라졌다는 모습을 보여주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직격했다. 당내에서는 민심 반영이 20%에 그치면서 유 전 의원이 최대 피해자가 됐다는 반응도 나왔다.

한편 당내 ‘30대 기수’로 거론되는 김재섭 의원은 “당의 개혁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에서 제 역할을 고민하고 있고, 그것이 전당대회 주자로 나가는 방법일 수 있다”고 출마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