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항 최초 ‘역사적 항만 대이동’ 두 번째 일정 시작

자성대부두서 신감만·감만부두로 이전

한국허치슨터미널, 듀얼포트 운영 계획

물량·장비 이송…10월 말 마무리 전망

부산항 북항 자성대부두 전경. 사진제공=BPA부산항 북항 자성대부두 전경. 사진제공=BPA




우리나라 항만 역사상 처음 이뤄지는 터미널 대이동의 두 번째 일정인 자성대부두 운영사 이전이 시작됐다.



17일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BPA는 기존 부산항 북항 자성대부두 운영사인 한국허치슨터미널이 부두를 통째로 신감만·감만터미널 1번 선석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북항 컨테이너부두 기능 재배치는 신감만부두 운영사(DPCT)의 신항이전과 부두 반납, 자성대부두 운영사(허치슨)의 신감만·감만부두 1번 선석 이전 및 운영개시, 자성대부두 운영 종료 등 3단계로 진행된다.

기존에 운영 중인 터미널의 물량 이전과 시설개선, 운영 준비가 동시에 이뤄지는 복잡한 과정이어서 유기적 연계가 중요한 만큼 BPA는 지난해부터 정부 협업 전담 조직인 북항운영준비단(TF)을 설치, 운영해왔다.



먼저 지난 3월 15일 첫 단계로 신감만부두 운영사인 DPCT가 북항 내 영업을 종료하고 부두를 반납했다.

관련기사



이어 한국허치슨터미널이 운영 준비에 돌입해 장비 시운전, 시설개선 등을 진행해왔다.

허치슨터미널은 이번 선석 이전 작업과 함께 한시적으로 자성대부두와 신감만·감만부두를 듀얼포트로 운영하며 하역 물량과 장비 이전을 동시에 추진한다.

이후 7월 15일 신감만부두 게이트를 열고 같은 달 30일부터는 하역을 시작할 계획이다.

안벽 크레인 등 기존 자성대부두 하역장비는 7월 말 해체에 들어가 대형 바지선에 싣고 신감만·감만부두로 옮긴다.

장비 해체부터 이송, 재설치 작업에는 3개월 가량이 걸려 오는 10월 말이면 이전작업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BPA는 터미널 대이동을 원활히 추진하고 북항 컨테이너 물류 기능에도 차질이 없도록 자성대부두 운영을 10월 말까지 연장했다.

강준석 BPA 사장은 “기상 여건 등 예측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도 생기겠지만 이전 작업이 안전하고 원활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