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1주일에 35시간만 근무하는 회사 어디?"…한 주에 3일 쉰다 [지금 일본에선]

독일철도 등 유럽기업

주 35시간 근무 점점 늘어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일본과 독일에서 1주일에 3일 쉬는 근무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7일 유럽과 일본에서 1주일에 3일 쉬는 기업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독일에서는 50개사가 참여하는 대규모 실증실험이 시작된 가운데 독일 철도는 단계적인 도입을 결정했다.

일본에서도 이요테츠 그룹이 채용했고 히타치제작소도 제도를 정비하기로 했다.

근무 방식 개혁은 원격 근무에서 휴식을 취하는 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다.



“노동 시간 단축을 바라는 자에게도, 많은 임금을 바라는 자에게도 응할 것이다". 독일 철도에서 일하는 운전사는 만족스럽게 말한다. 독일 철도는 3월 하순, 부분적인 주휴 3일이 가능한 주 35시간 노동을 2029년까지 실시하기로 노사가 타결했다.

관련기사



운전사 등 약 1만명을 대상으로 현재의 노동시간인 주 38시간을 단계적으로 내린다. 완전 주휴 3일에 상당하는 주 32시간의 노사 합의에는 이르지 않았지만, 격주 등을 활용하면 주휴 3일이 가능해진다.

새로운 합의 사항의 특징은 근로시간이 줄어도 임금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점이다.

독일 철도는 운전사 등 숙련 기술자의 인력 부족에 빠져 있다. 전국적인 노선 확장 공사도 겹쳐 전철 지연이 심각해지고 있다. 독일경제연구소는 운행정지나 운행 축소를 야기하지 않는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규로 1만명의 고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사람이 모이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운행 계획에 맞춰 일하는 불규칙한 근무 체계에 있다.

독일 철도의 인사담당 임원은 “모든 종업원에게 일률적인 노동시간을 요구하는 것은 시대에 맞지 않는다.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독일에서는 지난 2월, 약 50개사가 참가해 주휴 3일을 6개월간 시행하는 대규모 실증이 시작됐다. 독일 철도와 마찬가지로 급여는 주휴 2일과 변함없이 전액 지급한다. 철강업계도 주휴 3일이 가능하도록 23년말 노동조합과 기업이 합의했다. 이탈리아에서도 고급 스포츠카인 람보르기니가 2023년말 공장 근무자에게 주휴 3일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유럽의 변화에는 노사의 파워 밸런스 변화가 있다.

코로나 19 유행 이후 노동시장에 근로자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인력 부족이 상시화되고 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