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헬스

한미약품, 비만 치료 삼중 작용제 비임상서 40% 감량 효과

기존 치료제는 15~20% 감량 효과

에너지 소비, 혈당조절에도 유리

사진제공=한이약품사진제공=한이약품




한미약품(128940)은 자사가 개발 중인 비만 치료 삼중 작용제 ‘HM15275’가 동물 대상 비임상 연구에서 약 40%의 체중감량 효과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고 25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 2024)’에 참가해 이 같은 내용의 HM15275 비임상 연구 결과 4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



HM15275는 식욕 억제를 돕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인슐린 분비 자극 펩타이드(GIP), 에너지 소비를 촉진해 체중 감소 효과를 내는 글루카곤(GCG) 등 3개 수용체의 작용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삼중 작용제다.

관련기사



한미약품에 따르면 현재 GLP-1 기반 약물인 세마글루타이드와 터제파타이드는 비만치료 임상에서 약 15~20%의 체중감량 효과가 확인됐지만, 비만대사 수술 수준의 체중감량(25~30%)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하지만 한미약품은 비만 모델에서 HM15275 반복투약 때 기존 치료제들 보다 39.9%의 체중감량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으로는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면서 혈당조절에도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효력은 HM15275의 최적화된 삼중 약리작용에 따른 식이 조절과 에너지 대사 증가를 통한 작용 기전이라는 점을 규명했다.

한미약품이 발표한 다른 3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는 HM15275가 우수한 체중감소 효능 외에도 다양한 대사성 질환에서 효력을 나타낸다는 내용과 그 작용 기전을 담고 있다. 인크레틴 기반 약물들은 당뇨와 비만 치료를 넘어 다양한 치료 분야로 그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특히 심혈관 및 신장 질환을 개선하는 효능이 확인되면서, 이 약물들의 적응증 확장이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은 “올해 ADA 발표는 ‘차세대 비만 신약’을 국제 학회에서 처음 선보이며 비만치료 분야의 선도적 입지를 공고히 했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며 “연말에는 에페글레나타이드, HM15275에 이어 비(非)인크레틴 작용 기전의 신개념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