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정책은 ‘넛지(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와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정책 목표에 맞게 인센티브를 주되 과도한 간섭은 하지 않아 민간 주체가 자유롭게 협력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 장기적인 상생 경제의 비전이라고 봅니다.”
김정한 CJ ENM 부사장은 1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상생 컨퍼런스’ 토론 세션에서 상생 경제의 성공 조건으로 민간 자율성을 꼽았다. 정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의 물꼬를 트는 마중물 역할은 할 수 있지만 과도한 조건, 책임 등을 부여하지 않아야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원준 KT 구매실장은 예산 확대를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지원하는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프로젝트는 보통 신청 기업 수가 굉장히 많은데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협력 대상으로 선정되더라도 스타트업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1억~2억 원 수준”이라며 “이는 어느 기업에는 많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 스타트업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어 지원 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뷰티 정보·커머스 플랫폼 ‘화해’를 창업한 이웅 버드뷰 대표가 ‘스타트업이 대기업과의 협업을 모색할 때 무엇을 갖춰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하자 김 부사장은 ‘신뢰’와 ‘이력(레퍼런스)’을 꼽았다. 이미 대규모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대기업 입장에서는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가 없는 소기업과 선뜻 협업하기는 어렵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실장은 “기술력이 뛰어난 스타트업이 많지만 그것을 어떻게 활용해 사업을 할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며 “어떻게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것인지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