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이 올 상반기에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그러나 비(非)은행 자회사의 순이익은 30% 이상 급감하는 등 비은행 계열사의 수익성 개선은 과제로 남았다. 기업은행 측은 은행과 비은행의 고른 성장을 위해 외부 컨설팅을 받는 등 체질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기업은행은 올 2분기 연결 기준 순이익이 6097억 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6671억 원) 대비 8.6%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상반기 전체로는 순이익이 1년 전보다 0.3% 성장한 1조 3942억 원으로 기록돼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상반기 은행의 별도 당기순이익도 4.9% 증가한 1조 2588억 원으로 반기 최대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자이익은 1조 8158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1조 8469억 원)보다 1.6%(311억 원) 줄었다. 순이자마진(NIM)은 1.71%로 2022년 말 1.98%를 달성한 뒤 하락세다. 비이자이익은 1년 전의 887억 원보다 39.3% 감소한 538억 원에 그쳤다. 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국외 지점 자본금 등 환율 영향에 따른 환 평가손실 영향으로 은행 비이자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0조 7000억 원 늘어난 240조 900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7조 1000억 원(3.0%) 증가한 수준이다. 중소기업 대출 시장 점유율은 직전 분기와 같은 23.31%를 유지했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은행법에 따라 대출 중 중기 대출 비중을 7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올해 상반기 기준 중기 대출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 말 대비 0.7%포인트 늘어난 82.0%에 달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올 2분기 비은행 자회사 순이익이 724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1086억 원)와 비교해 33.3%나 감소했다는 것이다. 이에 기업은행은 최근 비은행 부문 운영·지원 체계 개선에 나섰다. 기업은행은 은행과 비은행의 고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외부 컨설팅을 받고 그룹사 간 업무·기능별 협업 체계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기업은행이 비은행 분야에 대한 체질 개선에 나선 것은 최근 자회사의 성장세에 비해 이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식은 전과 달라지지 않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내부에서는 인력·조직 확대에도 불구하고 자회사를 운영·지원하는 방식이 여전히 과거형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었다.
한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및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 역시 악화했다. 기업은행의 지난달 말 NPL 비율은 1.30%로 지난해 6월 말(0.98%) 대비 0.32%포인트 늘었다. 직전 분기보다도 0.18%포인트 오르며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총연체율도 0.77%로 전년 동기 0.54%에서 0.23%포인트나 증가했다. 기업은행 대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기 대출 차주들이 고금리 및 경기회복 둔화 등으로 상환 여력이 떨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업종별 연체율은 음식숙박업이 1.72%로 가장 높았고 △건설업(1.22%) △도소매업(0.87%) △제조업(0.73%) △부동산업 및 임대업(0.48%) 등의 순이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역량 있는 기업을 발굴하고 키워내는 기업의 성장 사다리 역할을 선도해나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