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내리막길 자동브레이크 자전거

전거는 건강과 환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이동수단이다. 그러나 경사가 심한 곳에서는 효용성이 반감된다. 오를 때는 체력소모가 심하고, 내려올 때는 과속을 막기 위해 제동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자칫 제동에 실패하면 충돌이나 전복돼 부상을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지난 2002년 경남 김해의 김 모씨가 특허출원한 자전거라면 내리막길에서의 사고 가능성을 깨끗이 지울 수 있다.

관련기사



광센서를 활용한 속도 감지장치, 수은(Hg) 튜브를 통한 경사도 감지장치에 힘입어 자전거가 알아서 내리막길에서 속도를 제어해주기 때문이다. 두 장치가 취득한 데이터와 자동 제동장치가 사전에 설정된 최고 속도를 바탕으로 일정 수준 이하로 자전거의 속도를 유지해주는 것이다.

출원인은 출원서에서 “평상시 자전거 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된 6V의 전기를 축전지에 저장해놓고 이를 12V로 증폭시켜 제동장치의 동력으로 활용한다”며 “속도 감각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노약자도 안전하게 내리막길 운행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특허청도 기꺼이 특허 등록을 허락했다. 하지만 상용화는 힘들 전망이다. 등록 이후 특허권이 자전거 업체에 두 번이나 인계됐지만 웬일인지 제품화에 성공하지 못하고 출원인에게 특허권이 되돌아온 것. 결국 출원인은 특허등록 5년 만인 2009년 자신의 특허권을 내려놓았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