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야구장에 도입되는 새로운 기술

[LEADERS IN INNOVATION] Baseball Brings New Tech to the Plate

포화상태의 스포츠 기록 분석 분야에서 메이저리그가 선두를 유지하는 법.
By Daniel Roberts


야구계는 그동안 머니볼 Moneyball *역주: 통계를 이용해 야구팀을 운영하는 방식의 인기를 불러일으켰으며 선수의 플레이를 포착해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장비를 모든 구장에 설치하기도 했다. 이런 야구계가 기록에 열광하는 팬들에게 한 가지 더 좋은 소식을 전한다. 더 많은 기술을 도입해 선수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수집·분석하겠다는 것이다.

메이저리그 30개 구단이 공동소유한 IT업체 MLB 어드밴스드 미디어 MLB Advanced Media(이하 MLBAM)는 새로운 추적 기술을 도입하는 중이다. 이 기술은 투구와 타구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경기장 위의 모든 움직임을 포착한다. 이 시스템은 카메라, 레이더, 특허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주자의 점프 및 스피드에 관한 데이터는 물론 2루 도루 경로의 각도까지도 제공한다. 투수, 야수 등과 관련된 다른 정보 또한 수집한다.

MLBAM(내부적으로는 BAM으로 불린다)은 아직 이름도 없는 이 기술을 활용, 포춘을 위해 특별히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신시내티 레즈 Cincinnati Reds의 신인 빌리 해밀턴 Billy Hamilton이 야구 선수 중 가장 빠를 것이라고 한다. 그는 지난해 9월 밀워키 브루어스 Milwaukee Brewers 전에서 8회 2루 도루에 성공했다(해밀턴은 지난 시즌 오직 플레이오프 기용만을 위해 마이너리그에서 불러온 선수다). 새로운 시스템의 분석내용을 살펴보면, 해밀턴의 리드거리는 약 3.3m였고 점프 후 0.49초 동안 공중에 떠 있었으며, 놀랍게도 가장 빠른 순간에 시속 34km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루에 걸린 시간은 총 3.08초에 지나지 않았다. 이때 브루어스의 포수가 글러브에서 공을 꺼내 2루로 던지는 데 0.667초가 걸렸으며 견제구의 속도는 시속 약 127km에 달했지만 해밀턴을 태그아웃 시킬 만큼 빠르지는 못했다.

MLBAM의 CEO 밥 보먼 Bob Bowman은 야구팬의 요구 때문에 메이저리그에서 선수에 대한 세세한 정보까지도 수집하려 노력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평범한 야구팬을 ‘심헤드 Seamheads’로 만드는 데 한 몫한다. 심헤드란 통계를 통해 선수나 팀을 평가하는 세이버메트릭스 Sabermetrics를 신봉하는 야구팬을 의미한다. 아울러 팬들이 응원하는 선수와 관련된 지출을 늘리게 만든다. 팀 유니폼이나 경기 관람권을 구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중요한 점이 한 가지 더 있다. 빅 데이터에 대한 자존심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프로야구는 포화 상태에 이른 스포츠 분석 분야에서 선두를 지켜왔다. 투구를 추적하는 피치f/x Pitchf/x 시스템은 메이저리그가 2006년 처음 도입했는데, 유사한 시스템을 도입한 그 어떤 프로 리그보다도 앞선 행보였다. 스포츠 분야 고객들과 일하는 분석업체 네트워크 인사이트 Networked Insights의 CEO 댄 닐리 Dan Neely는 “그들은 그 누구보다 5년은 앞서있다”고 평가한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는 메이저리그 팀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 선수 개인에 대한 세부적인 수치는 팀의 훈련 방법, 전략, 그리고 선수 트레이드 및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이번 시즌에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된 구장은 트윈스 Twins, 브루어스, 매츠 Mets 구장 뿐이다. 메이저리그에서는 2015년까지 30개 구장에 모두 이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지금은 수집된 데이터를 화면에 입혀 리플레이를 보여주는 데 거의 1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통계전문가들이 각 플레이에 연관된 수치를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보먼은 플레이가 이뤄진 직후 데이터가 가득한 리플레이를 보여주는 것이 메이저리그의 목표라고 강조한다. 최소한 빌리 해밀턴의 도루 속도만큼 빨리 리플레이를 보여주는 것이 목표다.



관련기사



FORTUNE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