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Q: 복제 야생동물도 야생성을 가질까?

초간단 답변: 물론이다.

호랑이나 사자처럼 야생 생태계의 상위권에 위치한 포식자들은 대개 사납고 포악한 본능의 소유자다. 동물원에서 태어나지 않았다면 사람의 손에 키워졌더라도 야생성을 억제하기 어렵다.


미국 뉴올리언스 소재 오듀본 멸종위기종 연구센터의 베치 드레서 박사에 따르면 이들 야생동물을 복제하더라도 야생본능은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관련기사



“수년전 아프리카 고양이를 유전자 복제해 사육해본 적이 있는데 이 녀석들도 진짜 야생 아프리카 고양이와 다를 바 없이 서로 할퀴고 물어뜯습니다. 장갑과 그물이 없으면 만질 수도 없을 정도였죠.”

복제 당시 드레서 박사는 집고양이를 야생고양이의 배아를 키울 대리모로 선택했다. 그렇게 집고양이의 온순함이 전해질 것이라는 기대는 산산이 깨졌다. 대리모인 집고양이와 함께 있을 때는 포악함이 눈에 띄게 줄었지만 사춘기가 되면서 대리모와 헤어진 뒤로는 공격성이 완연히 발현됐다고 한다.

“그들은 완벽한 유전적 복제물이에요. 아프리카 야생고양이를 사바나의 뛰어난 사냥꾼으로 만들어준 야생성이 고스란히 살아 있죠. 이 사례는 본능이 어느 정도 유전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증명하는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