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산신항만] 개발계획 전면 재조정

해양수산부는 부산항을 세계 3대 컨테이너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중인 부산신항 민자 개발계획을 전면 재조정키로 했다.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부산신항 민자사업 계획 사업주체인 부산신항만㈜이사업규모와 사업기간, 사업비 등을 전면 재조정해 줄 것을 요청함에 따라 이를 적극검토키로 했다. 부산신항만㈜은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영향으로 인한 재원조달 한계 및 컨테이너 물동량 수요 등을 감안할 때 부산신항만을 일괄개발하는 대신 이를 단계적 개발방식으로 변경하는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변경안을 지난 달 30일 제출했다. 이 변경안에 따르면 컨테이너 터미널의 규모를 당초 10선석에서 9선석으로 줄이되 운영 개시시기를 2006년으로 2년 앞당기고 총사업비도 삼성자동차 전용부두가 제외됨에 따라 2조1천9백억여원에서 1조8천3백여원으로 줄어들게 됐다. 반면 하역능력은 크레인을 22대에서 25대로 늘려 당초 262만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에서 340만TEU로 늘리기로 했다. 또한 배후부지도 104만평에서 93만평으로 줄이고 배후부지 개발방식도 부산신항만㈜ 단독개발방식에서 토지공사와 부산시개발공사가 함께 하는 제3자 합작시행 방식으로 하기로 했다. 아울러 부대사업은 195만평에 달하는 웅동산업단지 개발은 그대로 추진해 나가되 안골단지는 제외키로 했다. 부산신항만은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물류 중심의 항만개발을 위해 가덕도 북단에 개발키로 한 해양수산부의 대표적 민자유치 사업이며 부산신항만㈜에는 삼성,현대, 한진, 동아건설 등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해양부는 이에 따라 오는 9월까지 국토연구원에 설치된 민간투자지원센터에 사업타당성 분석을 마친 뒤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이 변경안을 기획예산처 실시협약변경안 심의위원회에 상정, 올 연말까지 이를 승인해줄 방침이다.【연합】 <부산신항만㈜가 제출한 부산신항만 민자사업 변경안> 1.컨테이너 터미널 구 분 당초 실시협약(97년) 변 경 안 비고 사업기간 2000-2007 200-2007 공사기간 96개월 규 모 3.2㎞(10선석) 3.2㎞(9선석) 1단계 6선석 2006년 운영개시 총사업비 2조1969억원 1조8362억원 1단계 6선석 1조2129억원 하역능력 262만TEU 340만TEU(1단계 205만TEU) 2. 배후부지 사업기간 2000-2011 2000-2011 총사업비 5,409억원 2,430억원 해사채취원변경 연약지반 개량공법 변경 면적 104만평 93만평 유수지(11만평)제외 (1단계 49만평) 개발방식 부산신항만㈜단독 제3자 합작시행 (토지공사,부산시개발공사) 3. 부대사업 개요 웅동산업단지 웅동산업단지 (195만평) (195만평) 안골단지(21만평) 제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