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내수 못 키워 5년간 100조 허공에 날린 한국 경제

요즘 국내 유통가엔 신년 특수가 사라졌다. 주말마다 차량으로 장사진을 이루던 서울 도심의 한 백화점 주차장에는 빈자리 즐비했고 대형마트에는 카트 대신 장바구니를 든 쇼핑객이 훨씬 많았다. 서울경제신문 특별취재팀이 지난 주말 둘러본 현장은 '내수 실종'을 실감하기에 충분했다. 내수추락엔 가속도가 붙은 상태다. 1997년 외환위기 직후 내수(소비+투자) 비중은 80% 벽이 깨지더니 2013년에는 72.7%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대로 가다가는 내수 비중이 2~3년 내 60%로 곤두박질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내수 비중이 89.9%인 데 비하면 비정상적이다.

관련기사



더 큰 문제는 내수추락이 막대한 국부와 일자리를 증발시켰다는 점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실질 국내총생산(GDP) 1%포인트를 내수로 높이면 신규 일자리가 20만개 늘어나는 반면 외수로 1%포인트 늘릴 때의 고용증가는 10만6,000명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 경제가 내수위축을 수수방관하는 바람에 입은 부가가치 기회 손실액도 2013년 한 해에만 24조9,340억원이었고 2014년 이전 5년간 허공에 날린 국부 총액은 1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될 정도다.

지금 한국 경제는 잠재성장률이 30년 전의 3분의1 수준인 3%대 중반으로 뚝 떨어졌다.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능력이 외수에 비해 월등히 높은 내수 활성화에 힘을 더 쏟지 않으면 안 되는 시점이다. 다행히 정부는 내수·수출 균형경제 달성을 새해 3대 경제정책 방향의 하나로 잡고 내수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금융·교육·관광·보건의료 등 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할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관련법 개정과 제도개선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수강국 건설을 위한 구조개혁이다. 성장잠재력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한 산업재편과 기업 구조조정, 노동시장 유연화가 동반되지 않으면 내수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부가가치 확대 또한 헛구호에 그치고 말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