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기아에 업체간 협력제안/주행시험장등 시설공동사용땐 파격지원

정부는 기아그룹 지원의 전제로 국내 자동차 업체간의 협력방안을 제시하도록 공식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기아가 이 요구를 수용할 경우 산업합리화업종 지정, 정부의 보조금과 같은 파격적인 지원방안도 제시했다.이는 그동안 정부가 견지해온 불개입원칙과 크게 벗어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14일 관계당국과 기아에 따르면 정부는 기아사태 발생후 기아자동차에 대해 프루빙그라운드(주행시험장), 자동변속기, 판매망, 물류시설 등을 삼성·대우·쌍룡자동차와 공동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기아 관계자는 『정부의 모처로 부터 기아의 첨단부품 및 실험시설을 삼성, 대우, 쌍용과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요청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이런 요구는 자동차산업의 특성을 전혀 감안하지 않은 것이며, 특히 대우·쌍용등은 이미 관련 시설을 구비하고 있어 사실상 삼성을 염두에 둔 제안으로 이해, 이를 거절했다』고 말했다. 기아의 또다른 관계자는 정부의 요청과 관련, 『기아 자구노력이 구태의연하다』며 『기아시설을 타사에 공개할 경우 정부의 지급보증이나 산업합리화와 같은 지원이 가능하다며 설득해왔다』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삼성이나 쌍용은 후발업체로 신규투자를 해야한다』며 『시설의 공동사용을 통해 이용료를 받는다면 기아자구노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는 이같은 정부관계자의 요청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인지, 정부의 공식입장인자를 밝혀달라고 요청했는데 이에 대해 『개인생각은 아니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같은 제안은 주행시험장의 경우 4∼5년후 개발될 차의 주행실험을 하는 곳으로 세계 자동차업체 가운데 경쟁업체에 이를 공개하는 경우는 없어 현실성이 없는 것이어서 그 배경에 대해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박원배·정승량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