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해외건설 르네상스] 담당 조직·예산 늘리고 고위급 외교전도 강화

■ 해외건설 지원 팔걷은 정부

일본은 해외건설 부문에서 민관 협력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정부ㆍ건설사ㆍ금융회사 등이 똘똘 뭉쳐 해외 수주에 나서는 것을 두고 '재팬 패키지' '올 재팬'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우리나라 정부도 뒤늦게나마 해외건설 지원에 모양새를 갖춰가고 있다. 우선 담당 조직을 확충했다. 그동안 해외 건설 담당부서는 국토해양부 내에서 해외건설 정책을 주로 담당하는 '해외건설과' 1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최근 건설정책관 소속의 '해외건설시장지원과'를 신설하고 지역별 수주 전략 수립, 자원-인프라 연계사업 발굴 및 타당성 조사, 수주지원단 파견ㆍ발주처 초청 지원 등 실질적인 수주 지원 업무를 시작했다. 또 고위급 공무원이 직접 외국 정부 관계자들과 접촉하는 횟수도 늘리고 있다. 이달 초에는 한만희 국토해양부 차관이 한국공항공사ㆍ한국도로공사 임원들과 함께 콜롬비아와 페루를 방문, 현지 건설 수주 가능성을 타진하고 사업참여 방안 등을 각국 정부 관계자들과 논의했다. 한 차관은 "정부관계자가 해외에 간다고 해서 당장 수주가 이뤄지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 간 우호 협력 관계를 쌓아두는 것이 국책 프로젝트 수주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해외 수주를 위한 관련 예산도 확충된다. 국토부는 내년 주요 해외건설 예산을 종전 40억원에서 125억원으로 세 배 이상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신시장 개척 자금 지원도 늘리고 중남미 등 수주 취약 지역에 정보센터도 추가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대표적인 사례가 글로벌 인프라 펀드다. 이 펀드는 지난 2009년 해외투자개발 인프라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총 2조원 규모로 조성이 추진됐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제 투자된 곳은 단 1개 프로젝트에 400억원에 불과하다. 사업성이 양호한 프로젝트의 경우 비싼 금리를 주고 이 펀드에서 굳이 자금을 조달할 필요가 없어 사업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기 때문이다. 박민우 국토부 건설정책관은 "앞으로도 부동산 경기 침체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로 국내 건설업체들의 해외 진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꾸준히 마련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