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野, 또 통합정당 초읽기

민주-시민통합 경선룰 합의<br>11일 민주당 全大가 갈림길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옛 혁신과통합) 등이 추진하는 야권통합 정당 건설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최대 쟁점이 됐던 지도부 경선룰에 양측이 합의를 이뤄내면서 통합을 향한 또 한번의 고비를 넘겼다.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은 7일 야권통합 정당의 지도부를 선출하는 방식을 개방형 국민참여 경선으로 하는 내용 등을 담은 통합방안에 합의했다. 특히 최대 쟁점으로 꼽혔던 지도부 선출참여 선거인단 구성을 '대의원 30%, 당원ㆍ시민 70%'로 하는 방안에 양측이 사실상 합의했다. 전날 민주당이 '대의원 20%, 당원ㆍ시민 80%'를 골자로 만든 경선룰에 박지원 전 원내대표 등 당내 일부 세력이 반발하자 시민통합당 측에서 대의원 비율을 최대 3분의1(33.3%)까지 늘릴 수 있도록 양보하면서 합의가 도출된 것. 민주당 측에서도 시민의 선거인단 등록시 약식으로라도 당원에 가입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임시당원' 제도와 관련, 통합당의 반대를 감안해 도입하지 않는 쪽으로 논의의 가닥을 잡으면서 양보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이밖에 양측은 통합정당의 당명을 공모절차를 통해 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결정하되 약칭을 '민주당'으로 하기로 합의했다. 또 19대 총선 지역구 후보자 공천은 완전개방 시민경선으로 하고 향후 구성될 지도부(최고위원회)는 선출직 7명, 지명직 3명, 당연직 2명으로 하되 노동계에 1명을 배정하고 여성ㆍ지역을 고려할 방침이다. 또 청년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당연직 최고위원회에 청년대표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으며 비례대표 등에도 배려하기로 했다. 민주당 통합협상위원회는 앞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통합방안을 자체 의결해 시민통합당 측에 전달했고 양측 지도부는 이 방안에 대한 공감과 동의를 표시했다고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 오종식 시민통합당 대변인이 밝혔다. 양측의 통합협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서 혁신과통합 측은 이날 오후 서울 논현동에서 예정대로 시민통합당 창당대회를 여는 한편 통합 수임기구를 구성했다. 민주당은 8일 지역위원장 회의, 9일 당무위원회를 거쳐 11일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합당을 결의할 계획이지만 박 전 원내대표 등 일부 세력이 반발하고 있어 막판 진통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