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日 지원규모 얼마나 될까

외교부, ‘예비비’ 신청 방침…아이티 1,250만불 상회하나

정부의 일본 지진ㆍ해일 피해 지원규모가 지난해 1월 아이티 지원규모(1,250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16일 기자들과 만나 “일본 지진 피해복구 지원에는 상당한 규모가 될 것”이라며 “그러나 현재 사용 가능한 예산은 약 5만 달러 정도에 불과해 예비비를 신청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항공편을 이용해 피해 지역에 생수와 모포 등 4~5종류의 구호물품을 공수하는 방안을 일본측과 협의하고 있다”며 “비행기가 착륙할 공항과 물자를 운송할 도로 등의 상황이 안정됐다는 연락이 올 경우 즉시 지원토록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일본 지원은 정부 예산 중 ‘선진국 재난구호 지원비’에서 충당된다. 올해 이 예산은 약 20만불 정도 책정됐다. 하지만 지난 달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지진과 관련해 이미 15만불이 소요됐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5만불 내에서 일본 지원이 이뤄져야 하지만 남은 예산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이 당국자의 설명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정부가 해외 대규모 재난에 지원한 최대 금액은 지난 2004년 남아시아(인도네시아ㆍ스리랑카ㆍ인도ㆍ태국) 지진ㆍ해일 당시 총 5,000만불(긴급구호 500만불, 재건복구 4,500만불)을 지원한 것이 가장 크다. 하지만 개별국가로는 이들과 함께 지난해 대지진 피해를 입은 아이티에 지원한 1,250만불(긴급구호 250만불, 재건복구 1,000만불)이 가장 큰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해 정부가 올해 책정한 ODA(공적개발원조) 예산 중 개도국 해외긴급구호 예산으로는 190억이 책정돼 있다. 하지만 일본은 선진국이므로 ODA 수원국에 해당되지 않아, 이 예산을 통한 지원을 받을 수 없다. 한편 일각에서는 정부 지원 규모가 예상과 달리 적을 것이란 관측도 내놓고 있다. 국내에서 한류스타를 포함한 민간 차원의 지원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다, 일본이 가진 경제력을 감안할 때 개도국과 같은 기준의 잣대를 적용할 수 없다는 여론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