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은 애써 부인하지만 이러다가는 올해 성장률이 2%대로 추락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점점 힘을 얻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가 확산되고 중국의 경기둔화까지 심화되면서 하반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한다. 국내 부문도 과중한 가계부채와 정치 리스크 등이 어우러져 소비나 투자가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경기를 살리겠다며 재정을 풀고 기준금리도 내렸다지만 경제주체들의 불안한 심리를 달래지 못하고 있다. 대내외 경제여건이 워낙 나쁜 탓에 우리 경제가 'L자형'이라는 장기침체의 늪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더 이상의 경기추락을 막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 작금의 경제위기가 글로벌 소용돌이라는 불가항력적인 요소가 있더라도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이 훼손되는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과감한 규제 완화를 통해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내수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급하다. 올해 서비스 수지가 14년 만에 흑자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은 관광산업과 해외 플랜트가 경제가뭄의 단비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여준다. 무엇보다 기업들이 수출ㆍ투자ㆍ내수ㆍ고용 등 각 방면에서 경제난국을 헤쳐나가는 데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기를 북돋워줘야 한다.
이런데도 정치권은 온통 대선득표 전략에 함몰돼 포퓰리즘적 경제민주화나 무상복지 확대를 외쳐대고 있으니 무책임의 극치다. 대선주자들은 양극화 책임을 물으며 대기업의 발목에 족쇄를 채우려 하지만 나눠먹을 파이가 쪼그라들고 있는 엄중한 현실에서 그렇다면 누가 국부를 벌어들일 것인지 해답을 먼저 내놓아야 한다. 2%대로 추락하는 저성장 경제에서 경제민주화 구호는 사치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