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외환유동성 관리 강화할 때

우리나라는 물론 글로벌 증시가 연일 폭락을 거듭하면서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번 금융불안이 미국 신용등급 하락, 유럽 재정위기 등 심각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단기간에 안정을 되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제2의 금융위기'가 오는 것이라는 비관론도 제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외부채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경우 외국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데다 수출입 비중이 국내총생산(GDP)의 80%에 이를 정도로 경제 전반의 대외의존도가 높다. 외부의 충격에 그만큼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때 외채에 따른 국가부도 위기감이 고조된 것도 이 같은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번에도 금융불안이 고조되면서 다시 외채 문제가 불거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지난 6월 말 현재 3,963억달러로 집계되고 있다. 1년 전의 3,515억달러보다 13% 늘었다. 7월 말 기준으로 보면 4,0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3,000억달러를 넘어선 외환보유액을 감안할 때 외채가 과다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외채 가운데 38%가량이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외채다. 비중이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총외채의 절반을 차지하는 은행의 대외채무 중에서 단기 비중은 60%에 이른다. 단기외채가 문제되는 것은 만기연장이 안 되고 한꺼번에 외자가 빠져나갈 경우 1997년의 외환위기,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때 겪은 것과 같은 외환유동성 위기에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외채규모가 큰 것은 아니고 정부의 설명대로 외환건전성 지표도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방심해서는 안 된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최근 "그동안 은행에 세 번 속았다"며 "물가가 올라도 당장 나라가 망하는 것은 아니지만 외환유동성 문제는 나라를 망하게 한다"고 강조한 것도 외채의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다. 현재 겪고 있는 글로벌 금융불안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어떤 사태가 닥치더라도 외환유동성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선제대응을 강화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