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실적 좋아졌으니 임금 올려라" 아베노믹스 2탄 서막

아베, 재계에 공식 요구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재계에 임금인상을 공식 요구하며 '아베노믹스 2탄'의 서막을 열었다.

금융완화를 앞세운 '아베노믹스 1탄'으로 엔저 효과의 덕을 본 실적개선 기업들을 상대로 임금인상을 압박해 실물경제 회복으로 연결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12일 오전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개최한 게이단렌 등 경제단체와의 의견교환회에서 근로자 임금을 올리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임금인상 및 보너스 지급 등을 통해 많은 국민들이 경기변화를 실감할 수 있도록 협력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일본에서는 올해 춘투(봄에 벌이는 임금협상)을 앞두고 노동자단체인 렌고가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아베 정권도 종업원 평균 급여를 늘린 기업에 법인세를 낮춰주기로 하는 등 '당근과 채찍'을 꺼내 들었다.

앞서 편의점 업체 로손은 지난 7일 중학생 이하 자녀를 둔 20~40대 직원 임금을 연간 평균 3% 인상하기로 하면서 다른 기업들의 동참 여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여기에다 엔화약세로 최근 일본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임금인상 압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문에 따르면 1,373개 일본 상장사들은 2012회계연도 누적 3분기(2012년 4~12월)에 1,500억엔의 환차익을 누렸다. 전년 같은 기간 3,800억엔의 환차손이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1년 사이 5,300억엔(약 6조2,000억원)의 환차손익 개선효과를 본 것이다. 여기에다 엔저로 수출경쟁력이 확대되면서 영업이익도 늘어났다.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사용자 측에서도 기본급 인상에는 부정적이지만 법인세 삭감 등을 조건으로 보너스 등 일시급 인상에는 응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