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제조업체“사내하도급 제한, 기업경쟁력 약화시킬 것”

대한상의 조사…‘일자리 축소’ㆍ’노동시장 왜곡’등

국내 기업들 대부분은 사내하도급 사용 제한이 일자리를 줄이거나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등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사내하도급을 활용하는 제조업체(종업원 100명 이상) 309곳을 상대로 한 최근 조사에서 이 제도를 제한하면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84.5%였다고 17일 밝혔다. 또한‘기간제와 파견직 근로자 사용을 법으로 규제하는 상황에서 사내하도급까지 제한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응답한 기업이 81.9%였다. 기업들이 경영 합리화 차원에서 사내하도급을 운용하는 만큼 새로운 규제는 노동시장을 더욱 왜곡시킬 수 있다고 상의 측은 설명했다. 사내하도급을 사용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인건비 등 경비 절감(60.5%)과 인력운용 유연성 확보(36.6%), 보조ㆍ부수적 업무(35.6%) 등이 꼽혔다. 또 이 제도를 활용하는 업무 분야는 청소ㆍ경비 등 시설관리(77%)가 가장 많았으며 제품 생산(49.8%), 포장ㆍ물류ㆍ유통(30.7%) 등이 뒤를 이었다. 사내하도급 문제의 해결 방안과 관련해서는 많은 기업이 원ㆍ하청 간 공정거래 문제로 해결(43.7%)하거나 현행대로 규제 없이 허용(36.2%)해야 한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사내하도급 활용이 금지되면 기업들은 생산 자동화로 업무를 대체하거나 규제가 없는 외국으로 공장을 이전하게 돼 결국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며 "우리 기업이 규제에 묶여 글로벌 경쟁력이 뒤처질 수 있다는 점을 기업들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