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아파트 주간 시세] 서울 재건축 4주만에 다시 하락세


서울 재건축 시장이 4주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7월 저가 매물의 거래로 가격이 오른데다 미유럽발 금융위기까지 겹치며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1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0.01%의 변동률을 보이며 보합에서 하락세로 전환됐다. 신도시, 수도권은 보합세를 유지했다. 서울은 재건축 및 중대형 아파트 위주로 약세를 보였다. 지난주 서울 재건축 시장은 -0.08%의 주간변동률을 보이며 내림세로 전환됐고, 특히 강남은 1주일 만에 -0.31%가 하락했다. 지역별로 ▦강남(-0.07%) ▦마포(-0.02%) ▦서초(-0.02%) ▦강동(-0.01%) ▦강서(-0.01%) ▦노원(-0.01%)이 하락했다. 반면 ▦성북(0.02%) ▦송파(0.01%) ▦중랑(0.01%) ▦구로(0.01%) 지역의 매매값은 미미하지만 상승했다. 강남은 개포주공1,3단지, 청실1차가 미유럽발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거래 침체로 가격이 내림세를 보였다. 마포는 상암동 월드컵파크5,7단지 중대형 아파트가 가구당 500만~1,000만원 정도 내렸다. 서초는 서초동 삼풍아파트가 중대형 주택의 매수세 부족으로 1,000만~1,500만원 가량 값이 떨어졌다. 신도시는 일부 저가 매물이 간헐적으로 거래되며 가격이 움직임을 보였다. 지역별로 ▦분당(-0.01%) ▦일산(-0.01%)이 하락했고 ▦산본(0.05%)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분당 야탑동 매화공무원1단지 69㎡의 저가 매물이 거래되면서 500만원 정도 가격이 하향 조정됐다. 산본은 전세물건 부족 등의 이유로 소형 매매가 꾸준하게 이뤄지고 있다. 금강주공9단지1,2차, 가야주공5단지가 금주 100만~250만원 정도 상승했다. 수도권도 전세물건 부족에 따른 매매 전환 거래만이 부분적으로 이뤄질뿐 시장은 전반적으로 한산했다. 지역별로 ▦화성(0.02%) ▦하남(0.02%) ▦안산(0.01%) ▦수원(0.01%) ▦광명(0.01%)은 소폭 상승했고, ▦용인(-0.02%) ▦인천(-0.01%) ▦김포(-0.01%)는 하락했다. 전세시장은 가을 이사 예정자들의 움직임이 뚜렷해지며 소폭 오름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서울(0.06%) ▦신도시(0.05%) ▦수도권(0.04%)의 변동률을 보였다. 8.18 전월세시장 안정방안이 발표됐지만 당장 이번 가을 이사철 전세물건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