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자리 없는 고학력자 ↑, 세대별 정책 필요”

일자리를 갖지 않는 대졸 이상 고학력자를 고용 시장에 끌어들이기 위한 세대별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6일 ‘고학력자의 사회적 낭비가 심각하다’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고학력 비경제활동인구는 309만2,000명. 비경제활동인구는 구직단념자, 취업 무관심자, 취업준비자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보고서는 309만2,000명은 전체 비경제활동인구 중 18.4%로, 고급 인력이 고용시장에 원활히 편입되지 않는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30∼40대 고학력 여성의 육아·가사로 인한 경력 단절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30∼40대는 전체 고학력 비경제활동인구의 56.7%를 차지하며 성별로는 30대 고학력 비경제활동인구 중 86.9%, 40대 가운데는 85.2%가 여성이다. 이들 여성 가운데 36%는 육아, 48%는 가사를 경력 단절의 이유로 꼽고 있다.

관련기사



고학력 비경제활동인구 중 20대의 비중은 20.4%다.

보고서는 이 가운데 남성은 30.3%, 여성은 69.7%를 차지해 여성의 사회 진출 문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20대 고학력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남성의 90.6%, 여성의 87%는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다’는 이유를 일자리를 갖지 않는 이유로 대고 있다.

김 연구원은 “각 세대·계층별 고학력 비경제활동인구를 고용시장에 편입하는 ‘경제활동인구화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20대의 사회진입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학업-고용 연결성’ 증대 ▲30∼40대 여성을 위한 육아시설 확충과 출산휴가제 정립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 세대가 재취업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