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순환출자 지배구조 15년만에 바뀐다

카드의 에버랜드 지분매각으로 수직형으로 전환…경영권엔 지장 없을 듯

삼성카드가 삼성에버랜드 지분 20.64%를 매각하기 위한 작업을 본격화함에 따라 15년간 이어진 삼성그룹의 순환출자 지배구조도 바뀌게 됐다. 그러나 외형적인 지배구조에 변화가 생길 뿐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이 최대주주인 삼성에버랜드를 중심으로 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일가의 그룹 경영권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재계 일각에서는 이를 계기로 삼성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거나 이재용 사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 등 3세로의 경영권 승계와 계열 분리를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4일 삼성 등에 따르면 금융회사는 계열사의 지분을 5% 이상 보유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에 따라 삼성카드는 보유 중인 삼성에버랜드 지분 25.6%를 내년 4월까지 5% 미만으로 줄여야 한다. 이에 따라 삼성카드는 최근 외국계 투자은행(IB)을 중심으로 입찰제안 요청서를 발송해 주관사 선정 작업에 착수했다. 삼성이 선택할 수 있는 삼성에버랜드 지분 매각 방법으로 블록딜(대량매매)을 통해 제3자에게 매각하거나, 기업공개(IPO)를 하거나, 삼성그룹 내 비금융 계열사에 매각하거나, 또는 자사주를 매입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구체적인 방식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어쨌거나 1996년 완성된 삼성카드→삼성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카드 등 핵심 계열사로 이어지는 순환형 출자 지배구조가 15년 만에 깨지게 되는 것이다. 지금은 삼성카드가 25.6% 지분으로 삼성에버랜드를, 삼성에버랜드가 13.34%로 삼성생명을, 삼성생명은 7.21%로 삼성전자를, 삼성전자는 35.3%로 다시 삼성카드를 지배하고 있다. 따라서 삼성카드가 삼성에버랜드 지분을 팔게 되면 동그라미형 지배구조가 삼성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카드 등 수직적 지배구조로 바뀌게 된다. 결과적으로 삼성에버랜드를 차지하면 삼성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셈. 현재 삼성에버랜드 지분 소유 구조는 삼성카드 25.6%, 이재용 사장 25.1%, 이부진 사장 및 이서현 부사장 각 8.37%, 한국장학재단 4.25%, 삼성SDIㆍ삼성전기ㆍ제일모직 각 4%, 이건희 회장 3.72%, 삼성물산 1.48% 등이다. 삼성카드와 한국장학재단이 지분을 내다 팔더라도 이재용 사장이 이 회사의 대주주가 되고 우호 지분이 절반을 넘어 삼성에버랜드뿐 아니라 핵심 계열사에 대한 경영권 행사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이 사장이 삼성에버랜드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는 데는 1995년 이 회장이 증여한 61억원이 종자돈이 됐다. 그는 이 자금으로 이듬해 에스원과 삼성엔지니어링 주식을 거래해 550억원으로 늘리고 나서 기존 법인주주가 실권한 에버랜드 전환사채(CB)를 주당 7,700원에 인수하면서 지분 25.1%를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곽노현 방송통신대 교수(현 서울교육감) 등 일부 법학 교수들과 참여연대가 2000년 6월 이건희 회장과 삼성에버랜드 당시 경영진을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으나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무죄 판결이 내려진 바 있다. 한편, 삼성카드의 삼성에버랜드 지분 매각이 당장 삼성그룹의 경영권에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 삼성이 삼성에버랜드를 상장하거나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등 지배구조에 변화를 줄 것이라는 전망도 재계와 증권가에서는 나오고 있다. 아울러 이재용 사장과 이부진 사장, 이서현 부사장 등에 대한 경영권 승계와 계열 분리도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