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난 10년 히트상품 키워드 ‘감성 디지털, 웰빙, 희망제시’

삼성연, 2000~2010년 베스트히트 상품 분석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10년간 히트상품으로 감성코드를 맞춘 디지털 상품, 맛과 건강을 고려한 웰빙상품, 희망제시형 상품을 꼽았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막걸리, 월드컵 등이 선정됐다. 26일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10년간 선정한 110개 히트상품을 재조명하고 트렌드를 분석했다. 우선, 감성, 참여, 공유, 개방 등의 사회적 욕구를 꿰뚫은 디지털 상품이 히트상품의 주요 트렌드였다. 휴대폰과 관련해서는 ‘듀얼폴더’에서 ‘스마트폰’까지 멀티미지어적인 감성 제품들이, 인터넷에서는 사회적 관계 형성과 정보 욕구를 충족시키는 ‘아이러브 스쿨’,‘지식검색’, ‘싸이월드’ 등이 시대를 주름잡았다. IT를 접목해 소비자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용카드’, ‘교통요금 결제서비스’, ‘내비게이션’ 등도 대표적인 히트상품이었다. 웰빙형 상품이 급격히 확산된 것도 지난 10년의 주요 변화다. 맛과 건강기능을 동시에 만족시켜주는 식음료인 ‘저도수 소주’, ‘와인’, ‘막걸리’ 등이 대중화됐으며 ‘청계천’과 ‘도보체험관광(제주도 올레길)’은 걷기 문화 열풍을 주도했다. 또 성취감, 국가적 자긍심을 높여주는 이른바 희망제시형 상품에 소비자들은 환호했다. 김연아, 박지성, 박태환과 같이 월드컵, 올림픽 등 국제 스포츠 이벤트에서 눈부신 성적을 거두며 국민적 자긍심을 고취시킨 스포츠 스타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또 한국 문화의 글로벌화에 기여한 드라마, 가요도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9ㆍ11테러,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불안정한 경제, 사회 요인이 반복되고 사회 안전망이 불안해지면서 스트레스와 불안을 반영한 상품도 인기를 끌었다. 종신보험, 로또, 재테크서적, 매운 음식, 판교아파트 등이 그 세태를 반영한 상품들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