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부이촌동 구역지정 해제 그 후] 개발 이전 수준 시세 회복… 거래도 살아난다

주민 재산권 행사 가능해져 매도-매수자간 가격흥정<br>북한강성원 3000만원 껑충… 중개업소 매수문의도 크게 늘어

한강을 따라 줄지어 서있는 서부이촌동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으로 서부이촌동 일대의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가 확정되면서 지역 내 아파트 시세가 오르고 매수 문의도 늘어나는 등 거래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경제DB


"구역지정 해제가 확정되면서 오히려 매물 호가는 오르고 있습니다. 시간이 걸리긴 하겠지만 서울시의 새 개발계획 밑그림이 그려지면 거래 시장도 회복되지 않을까요." (서부이촌동 B공인 관계자)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으로 구역지정 해제가 확정되면서 서부이촌동 주택거래시장이 회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사업 청산 과정에서 대출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나왔던 급매물 시세보다 3,000만원가량 뛴 아파트 매물이 거래가 된 것. 시세도 개발 이전의 수준까지 오르고 있다.


인근 중개업계는 그동안 재산권 행사가 막혔던 탓에 대출 부담을 이기지 못한 경매 낙찰가격이 시세를 좌우했지만 앞으로는 매도-매수자 간 줄다리기를 통해 서서히 적정 가격을 찾아갈 것으로 보고 있다.

9일 서부이촌동 일대 중개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 코레일이 용산국제업무지구 3차 토지반환 관련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한 후 이 지역 북한강성원아파트 59㎡(이하 전용면적)가 5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상반기 청산절차가 시작된 후 개발 무산에 따른 실망매물이 5억4,000만~5,000만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3,000만원가량이 오른 수준이다. 현재 이 아파트의 매도호가는 6억원까지 올라 있다.

주목되는 점은 2007년 8월30일 이주대책기준일 바로 직전의 시세까지 회복을 했다는 점이다. 이주대책기준일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 발표 이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전격적으로 지정한 입주권 부여 기준 일자다. 이후에는 주택을 취득해도 입주권을 받지 못하는 탓에 지난 6년여간 사실상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가 막혔었다.

이주대책기준일 이전 평균 실거래가가 5억7,183만원이던 성원아파트 59㎡는 그해 10월 정점인 9억원을 찍은 후 계속 내리막길을 걷다 구역지정 해제 확정 이후 5억7,000만원에 거래되면서 개발계획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이주대책기준일 이전 평균 실거래가가 5억6,500만원이던 동원아파트 84㎡ 역시 8월 6억5,0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대림아파트 84㎡의 경우 고점인 13억원에는 훨씬 못 미치지만 7억8,000만~8억원의 시세를 형성하면서 2007년 8월 이전 가격 수준을 회복한 상태다.

인근 중개업계는 아직 활발하지는 않지만 구역지정 해제 확정 이후 매물은 물론 매수 문의도 눈에 띄게 늘었다는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개발로 인해 공동화된 상권만 회복된다면 이른 시간 내에 거래시장이 정상화될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 지역 베스트공인의 임현택 대표는 "여태껏 한 번 들어선 적 없는 24시간 편의점이 최근 문을 열었다"며 "상권이 회복되면서 이제는 서부이촌동도 사람 사는 곳이라는 인식만 외부로 확산되면 거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코레일의 소유권 이전 등기가 4일 완료됨에 따라 이르면 10일께 발행되는 서울시보에 구역지정해제 고시를 할 계획이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