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과천청사 부지 활용 '동상이몽'

17일부터 관계부처 회의<br>정부 "세종시 안가는 5개부처 이전"<br>경기도·과천은 "산학협력단지 조성"

세종시로 이전하며 공동화되는 과천정부청사 활용방안이 정부 차원에서 본격 논의된다. 동남권 신공항, LH 본사이전, 과학벨트 등으로 전국토가 들썩인 데 이어 또 한번 지역 민심이 흔들리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16일 국무총리실과 관련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관계부처와 경기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17일 오후 국무총리실 주재로 과천청사 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킥오프 회의를 갖는다. 현재 청사 활용에 대해 정부와 경기도ㆍ과천이 동상이몽(同床異夢) 상태여서 충돌도 예상된다. 우선 정부는 세종시로 이전하지 않은 5부 19위원회를 과천청사로 옮기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금융위원회ㆍ여성부 등 현재 건물을 임대해 쓰고 있는 부처들을 과천청사로 모으는 것이 효율적인 대안"이라며 "국유재산인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용산에 위치한 국방부 역시 과천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지난달 1일부터 시행된 국유재산법 개정안(기획재정부가 국유재산을 통합관리하고 각 부처는 필요한 재산을 승인 받아 사용)을 통해 부처 이전에 대한 사전 준비를 마쳤다. 이에 반해 경기도와 과천시는 산학협력단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 같은 정부안에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경기도와 과천시는 지난해 8월 청사부지(67만5,000㎡)를 중심으로 과천 전역을 교육ㆍ과학ㆍ연구중심도시로 개발하는 내용의 '과천종합대책계획안'을 내놓았다. 경기도는 과천청사 주변 추가 그린벨트 해제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과천시 관계자는 "정부 입장이 바뀌지 않는다면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세종시 이전은 총 3단계로 진행된다. 내년에 총리실ㆍ재정부ㆍ공정위ㆍ국토해양부ㆍ환경부ㆍ농림수산식품부가 옮겨가고 2013년 11월에는 교육과학기술부ㆍ지식경제부 등이 2014년 10월에는 법제처ㆍ국세청 등이 이동한다. 세종시 이전이 가까워오면서 과천청사에서 근무하던 공무원 중 일부가 세종시로 이전하지 않는 금융위ㆍ국가과학기술위원회 등으로 옮겨가는 등 과천시와 공무원들이 술렁이고 있는 모습이 점차 눈에 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