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정부, 이희호·현정은 조문 허용

'완곡한 조의' 표명

정부는 20일 정부 담화문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관 관련해 "북한 주민에게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국내 상황을 감안해 직접적인 조의 표명보다는 주민에 대한 위로로 '완곡한 조의'를 표한 것이다. 또 정부 차원의 조문단은 파견하지 않고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 유가족에게만 조문답례 차원에서 방북을 허용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북한의 애도기간 중인 23일로 예정된 전방지역의 성탄 트리 점등도 올해는 유보하도록 교계에 권유하기로 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이날 청와대에서 발표한 정부 담화문을 통해 "북한 주민에게 위로의 뜻을 전한다"며 "북한이 조속히 안정을 되찾아 남북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을 이룰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류 장관은 앞서 "정부는 김 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한반도 평화가 흔들리지 않도록 우방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며 "우리 군도 비상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아직 북한 군의 어떤 이상징후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며 "국민 여러분은 경제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안심하고 평소와 다름 없이 일상을 유지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부가 다소 우회적이고 완곡한 표현으로 조의를 대신한 것은 천안함ㆍ연평도 사태에 대해 북한이 사과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의ㆍ조문을 섣불리 결정할 경우 그나마 지지기반인 보수층마저 선거를 앞두고 등을 돌릴 수 있다는 청와대와 정부 내의 목소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조문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민주통합당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조문단을 파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홍준표 전 한나라당 대표도 조문특사 파견으로 대북 봉쇄정책을 전환해 남북관계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