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달 주요그룹 시총 신세계만 증가

대부분 내수주로 구성된 영향… 삼성·현대차·LG는 크게 줄어

8월 들어 증시가 급등락하면서 주요 그룹 가운데서는 신세계만 시가총액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의 시총은 지난 1일 11조6,263억원에서 25일 11조8,572억원으로 1.99%(2,309억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16.8%나 떨어졌음을 감안하면 상당히 선전한 셈이다. CJ그룹도 시가총액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감소율이 불과 1.51%(1,698억원)에 그쳤고 현대백화점(-7.22%)도 시가총액 감소율이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이 덕에 그룹별 시총 순위에서도 신세계는 14위에서 11위로 3계단 올랐고 CJ도 15위에서 12위로 상승했다. 이는 이들 그룹의 상장사가 대부분 내수주로 구성돼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폭락을 야기한 외국인은 그동안 주로 자동차와 화학∙정유∙정보기술(IT) 등 대형 수출주를 집중적으로 내다 팔았지만 내수주는 소나기를 피해갈 수 있었다. 실제로 신세계그룹 시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마트와 신세계의 시총이 이 기간 각각 3.11%, 1.22% 늘었고 CJ그룹에서도 CJ(1.05%)와 CJ씨푸드(17.86%), CJ오쇼핑(0.99%), CJ프레시웨이(3.93%) 등의 덩치가 더 커졌다. 반면 삼성그룹의 25일 시가총액은 209조2,042억원으로 이달 초보다 44조5869억원(17.57%)이나 줄었고 현대차그룹(-32조5,673억원)과 LG그룹(-23조645억원)도 크게 감소했다. 감소율로만 봤을 때는 하이닉스(-32.27%)가 가장 컸고 OCI(-31.76%)와 S-OIL(-30.11%), 한화(-28.28%)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