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3D프린터 총기 합법화하나

플라스틱총기 금지 법안 시효 내달 9일 만료

3차원(3D) 프린터로 제작한 플라스틱 총기가 미국에서 합법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플라스틱 총기 제작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1998년 제정된 ‘비탐지 무기 제한법'(Undetectable Firearms Act)의 효력이 내달 9일 만료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미국 의회 전문 매체인 힐(The Hill)은 28일(현지시간) 의회가 이 법안을 연장하거나 대체 법안을 통과시키지 않으면 플라스틱 총기의 제조, 유통, 소지 등이 자유로워진다고 지적했다.

비탐지 무기 제한법은 금속탐지기가 감지할 수 없는 양의 금속을 포함한 무기 제조를 금지하고 있다. 플라스틱 총기처럼 소량이거나 금속이 들어가지 않은 무기의 생산을 할 수 없도록 하자는 취지다.


이 법이 만들어질 당시 플라스틱 총기는 이론상으로만 가능했지만 의회는 미래에 이런 무기를 제작할 수 없도록 하자는 취지로 입법화했다.

관련기사



총기 규제 지지자들은 법을 연장하지 않으면 누구나 적은 돈으로 3D 프린터를 활용해 공항이나 금속 탐지기에 걸리지 않는 총기를 집에서 제작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법안 연장을 주장하는 스티브 이스라엘(민주·뉴욕) 하원의원은 "25년 전 의회가 플라스틱 총기 금지 법안을 초당적으로 지지했을 당시만 해도 그 위협이 '공상과학'이었지만 지금은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추수감사절 휴회에 들어간 미국 의회가 내달 9일에나 다시 문을 여는데다 공화당이 법안 처리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민주당 일부 의원은 휴회 직전 이 법안을 만장일치로 1년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공화당 상원의원의 반대로 무산됐다.

앞서 에릭 홀더 미국 법무장관은 이달 중순 성명을 내고 "금속탐지기로 적발되지 않는 총기가 적법하게 유통되도록 해서는 안 된다. 이는 법 집행과 국민 일상생활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라고 말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